10·25교육혁명행진은 민주주의 재탄생의 첫 걸음

[2025교육혁명행진⑦] 내란청산을 넘어, 체제변혁과 인간해방의 길로

2025년의 한국 사회는 다시 한 번 역사의 문턱에 서 있다. 윤석열 정권의 12·3 비상계엄 사태는 헌정 질서를 정면으로 무너뜨리며, 시민의 민주적 권리를 압살한 국가폭력이었다. 그리고 그 뒤편에서 조희대 사법부가 보여준 일련의 사법농단 행태는, 사법이 여전히 권력의 시녀로 전락해 있음을 여실히 드러냈다. 사법부는 스스로의 독립을 포기했고, '법의 이름'으로 민주주의를 배반했다.

이로써 우리는 다시 확인한다. 내란은 과거의 사건이 아니라, 현재의 구조로서 우리 곁에 남아 있다는 사실을.

내란의 청산이 지지부진한 까닭은 그것이 단순히 군사정권의 잔재 때문이 아니라, 국가와 자본이 얽힌 통치체제의 근본 구조가 여전히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법은 권력에 포획되고, 교육은 경쟁에 종속되었으며, 시민은 피로 속에서 길들여졌다. 이런 현실에서 2025년의 과제는 정권 교체가 아니라 체제 교체다. 즉, 인간과 공동체를 억압해온 국가-자본 복합체를 해체하고, 새로운 사회적 질서를 세우는 일이다.

바로 이 지점에서 10월 25일 교육혁명행진이 갖는 운동사적 의미가 분명해진다. 이번 행진은 단지 교육제도 개혁을 위한 시위가 아니라, 내란청산의 사회적 실천이며, 새로운 인간해방의 선언이다. 한국의 교육체제는 오랫동안 자본주의적 경쟁의 심장부에 놓여 있었다. 학생은 '노동력 후보자'로, 교사는 '성과관리 대상'으로, 학교는 '경쟁시장'으로 변질되었다. 교육의 본질은 잃어버린 지 오래였다.

그러나 교육혁명행진은 묻는다.

"우리는 무엇을 위해 배우는가?"

그 물음 속에는, 지식의 상품화에 대한 저항과 인간 존엄의 회복이 함께 들어 있다. 교육혁명은 입시 개혁을 넘어, 인간 그 자체의 회복을 겨누는 실천이다.

지식의 상품화에서 학습의 공동화로, 노동력 양성에서 인간 해방으로, 국가 통제에서 시민 자치로.

이 전환은 단순한 교육운동의 갱신이 아니라, 자본주의 문명에 대한 근본적 반란이다.

2025년 10월 25일, 교사,교수와 학생, 양육자와 시민, 노동자와 청년, 기후운동가와 사회운동세력이 함께 행진한다. 이 연대의 장면은 1987년 체제 이후 지연되어온 민주주의의 갱신이자, 분절된 운동을 넘어서는 사회대개혁의 총체적 흐름이다. 그날의 행진은 단지 "교육의 날"이 아니라, "민주주의 회복의 날", 그리고 "체제변혁의 출발점"으로 기억될 것이다.

"비상계엄의 어둠은 우리의 교실과 사회를 잠시 침묵시킬 수 있었지만, 우리의 배움과 자유의 불씨까지는 지울 수 없다." 10·25 교육혁명행진은 바로 그 불씨를 되살리는 날이다. 내란 청산에서 사회대개혁으로, 교육의 해방에서 인간의 해방으로, 자본의 지배를 넘어 자본주의 체제 변혁과 새로운 문명의 서막으로.

2025년 10월 25일, 한국의 거리는 다시금 묻는다. "이제, 배움은 누구의 것인가?" 그 질문에 답하기 위해 걷는 그날의 행진이야말로, 비상계엄 이후의 시민혁명이며, 자본독재를 넘어서는 교육해방, 노동해방, 인간해방, 새로운 사회와 민주주의 재탄생의 첫 걸음이 될 것이다.

▲1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국회 앞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 촛불 집회에 참석한 시민들이 응원봉을 흔들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