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美와 8.1 이전 협상 타결…농산물도 대상 품목"

위성락 "안보 분야 협상이 보다 안정적…선순환 효과 기대"

대통령실은 25일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시한이 종료되는 8월 1일 이전에 협상을 타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날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 주재로 김용범 정책실장,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을 비롯해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참석해 통상대책회의를 가진 뒤 김용범 실장은 "8월 1일 이전에 상호 호혜적 타결 방안 도출에 대한 의지를 재확인했다"고 전했다.

김 실장은 현재 협상 상황과 관련해 "우리 측은 양국 간 제조업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와 상호관세 완화를 미국 측에 강하게 요청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은 미국에 체류하며 25일(현지시간)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러트닉 상무장관과 추가 협의를 이어갈 예정이다.

김 실장은 "현지 협상단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국익 최우선의 원칙 아래 한미 간 상호 이익이 될 수 있는 협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쌀과 소고기를 비롯한 농축산물 시장 개방도 협상 의제로 포함됐다. 김 실장은 "협상 품목에 농산물도 포함돼 있다"며 "농업이나 디지털 분야는 그리어 USTR 대표와 여한구 본부장 간 협상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고 했다.

위성락 실장은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의 대면 협상과 한미 재무·통상 수장이 만나는 '2+2 협의'가 무산된 데 대해 "일각에서 한미 간 협상 전선에 이상기류가 생긴 게 아니냐는 말도 있지만 협상은 계속 진행 중"이라고 했다.

다만 당초 통상·투자·구매·안보 전반에 걸친 패키지 협의를 제안했던 위 실장은 현재 진행 상황과 관련해 "안보 분야 패키지가 다른 분야보다 좀 더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고 했다.

위 실장은 "(패키지 협의 제안에) 경청하고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미국 내 인사들도 있고, 자기들이 맡고 있는 관세나 비관세나 투자 문제에 대해서 더 집중하는 부서도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안보 분야의) 안정적 에너지가 타 분야의 선순환적 효과를 주길 기대하고 있다"면서 "나머지 투자나 관세 분야 협의는 열심히 진행하는 상황"이라 했다.

김용범 실장은 "(안보 분야 외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다기보다 미국이 어느 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는지를 듣고 상호 간에 도움이 되는 방안으로 제안을 했다"며 "미국이 더 관심 가지고 있는 분야도 있어 협의가 실질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이날 회의에선 미국과 일본이 타결한 협상 내용을 파악해 우리의 대응책을 모색했다고 한다. 김 실장은 "일본과 미국 간 통상 과정을 일본과의 협력 체계가 있어서 듣고 있다"면서도 다만 "양쪽에서 분명한 문서로 정리한 게 없어서 조금 더 분석과 평가가 필요하다"고 했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왼쪽)이 2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 주재로 열린 통상대책회의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위 실장 오른쪽은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임경구

2001년에 입사한 첫 직장 프레시안에 뼈를 묻는 중입니다. 국회와 청와대를 전전하며 정치팀을 주로 담당했습니다. 잠시 편집국장도 했습니다. 2015년 협동조합팀에서 일했고 현재 국제한반도팀장을 맡고 있습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