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무인기 북에 7대 보냈다?…"김정은 관저 타깃도, 거의 '나 잡아 봐라' 수준"

윤석열 정부에서 군 드론작전사령부가 최소 3차례에 걸쳐 7대의 무인기를 북한으로 보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4성 장군 출신인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4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믿을만한 여러 관계자의 제보에 따르면, 드론작전사령부는 최소 3차례에 걸쳐서 7대의 무인기를 북한으로 보냈다"며 "윤석열 정권의 외환 유치 정황이 점차 사실로 입증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최고위원은 "우선 2024년 10월 3일, 드론사 예하 부대인 백령도 101대대에서 무인기 2대가 새벽 2시부터 10분 간격으로 이륙했고, 평양을 거쳐 새벽 6시쯤 복귀했다. 비행기록과 여러 증언을 통해 확인한 내용"이라며 "구체적인 목표 좌표도 파악됐다. 김정은의 관저로 알려진 15호 관저 일대"라고 주장했다.

김 최고위원은 "(그해) 10월 8일 밤 11시부터 10분 간격으로 백령도에서 (무인기) 네 대를 날렸다. 그중 한 대는 다음날 새벽 2시 반쯤, 두 대는 3시쯤 복귀했다. 한 대가 복귀하지 못한 것"이라며 "'남측이 10월 9일 평양에 무인기를 날려보냈다'라고 북한이 공개한 그 날과 일치한다. 특히 당시 목표 좌표는 15호 관저 상공이었다"고 주장했다.

김 최고위원은 "(그해) 11월 13일 저녁 7시 반쯤 1대를 날렸다. 애초엔 2시간 내지 3시간 간격으로 두 대를 띄울 계획이었는데, 한 대만 보냈다고 한다. 2~3시간 간격으로 보내면 북한이 경계태세를 확고히 갖추기 때문에 두 번째 드론은 격추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며 "특히 이번에는 목표 좌표도 더욱 위험했다. 해군기지가 있는 남포였다. 북한 잠수함, 호위함 등이 정박해 있는 주요 군사 시설이 밀집한 곳"이라고 주장했다.

김 최고위원은 "너무나 위험천만한 계획을 세웠던 거다. 이 정도면 '나 잡아봐라' 아니냐"라고 덧붙였다.

김 최고위원은 "이렇게 남포 일대를 비행한 무인기는 약 2시간 후쯤 백령도로 복귀했다. 이 때 비행경로로 남포로 갈 때는 상공 2km로 유지하다가 대동강 지역, 남포 일대 군사 시설이 밀집된 지역은 고도를 800m까지 낮춰서 가도록 지시를 받았다고 한다. 이것은 명백히 무인기를 격추당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보여진다"고 주장했다.

김 최고위원은 "이제 특검이 속도를 내야 한다. 백령도 일대가 아니라 드론사 예하 부대에서 날린 무인기 기록과 관련 장비를 하루빨리 확보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12·3 비상계엄과 관련해 특검의 수사를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9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이 끝난 뒤 법원을 떠나고 있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박세열

정치부 정당 출입, 청와대 출입, 기획취재팀, 협동조합팀 등을 거쳤습니다. 현재 '젊은 프레시안'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쿠바와 남미에 관심이 많고 <너는 쿠바에 갔다>를 출간하기도 했습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