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도 의대 모집 정원을 증원 전으로 돌리겠다는 정부 발표에도, 대한의사협회가 궐기대회를 열고 정부에 의료정책에 대한 사과와 수습책 제시 등을 촉구하며 대결적 행보를 이어갔다.
의협은 20일 서울 중구에서 2만여 명(주최측 추산)이 참여한 '의료정상화를 위한 전국의사궐기대회'를 열었다. 대회사에서 김택우 의협 회장은 "우리 후배들은 여전히 어두운 길목에 서있다. 그리고 스스로 되뇌고 있다. '돌아갈 명분이 없다'고"라며 "전공의, 의대생 여러분, 여러분은 결코 틀리지 않았다. 여러분이 시작한 외침은 옳았다. 이제 선배들이 함께 외친다. '우리는 틀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궐기대회는 단순한 시위가 아니다. 후배들이 돌아올 수 있는 명분을 우리 손으로 만들어 주는 자리"라며 정부에 '의료개혁 정책'과 관련한 사과 및 수습책 제시, 전면 재논의 등을 촉구했다.
김창수 의협 대선기획본부 공약연구단장은 의대증원을 포함한 윤석열 정부의 의료정책에 대해 "'문과적인 수사'로만 가득 찬 정책"이라며 "지금 발표한 정책은 실패할 수밖에 없다는 것을 환자를 직접 진료하는 현장에 있는 우리는 알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잘못된 정책과 지키지 못할 약속을 반복하는 정부가 바로 개혁의 대상"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박단 의협 부회장(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핵위원장)도 "일방적으로 정책 결정한 것은 정부다. 법을 어긴 것도 정부다. 절차를 지키지 않은 것도 정부다. 우리가 무엇을 그렇게 잘못했나"라며 정부에 날을 세웠다.
의협은 이날 대회의 요구를 담은 결의문에서는 △필수의료 패키지 등 윤석열표 의료개악 중단 △전공의·의대생 요구안을 반영해 보건의료정책 전반을 의협과 재설계 △의대생·전공의에게 업무 복귀 등 행정명령을 내린 데 대한 사과 △교육이 불가능한 의대에 대한 입학 정원 조정 등을 촉구했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17일 내년도 의대모집 정원을 증원 이전인 3058명으로 되돌리겠다고 발표했다. 애초 교육부가 증원 철회의 전제조건으로 내세웠던 의대생 '전원 복귀'가 이뤄지지는 않았지만, 의대교육 정상화가 시급하다는 대학 총장과 의대 학장단의 건의를 받아들여 내린 결정이었다.
이런 가운데, 의대증원에 반대하며 집단휴학에 나섰다가 지난 3월 복귀한 의대생 다수는 수업을 거부하며 투쟁을 지속 중이다. 이에 의대생 실질 복귀율은 25.9%에 그치고 있다. 수련병원에서 근무 중인 전공의 비율도 집단사직 이전의 12.4%(지난달 30일 기준)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