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의원은 7일 오후 국회 기자회견장을 찾아 "대선 불출마 뜻을 밝히겠다"며 "정권교체의 밀알이 되겠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공존하는 나라, 상생하는 세상을 만들고자 했던 저의 도전은 끝내 국민의 기대를 모으지 못했다"며 "시대적 요구와 과제를 감당하기에 부족함을 절감했다"고 했다 .
김 의원은 "민주당 당원의 한 사람으로 돌아간다"며 "성공한 정권을 만들기 위해 저의 노력을 보태겠다. 촛불 시민혁명의 염원을 정치를 통해 이루려 했던 제 꿈을 놓지 않겠다"고 했다. 그는 "새로운 대한민국을 위해, 분열이 아니라 통합이 절실한 시점"이라며 "흩어진 국민의 마음을 모으는 정치권의 노력을 마지막 호소로 올리며 이만 물러난다"고 회견을 마쳤다.
김 의원은 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자신이 박원순 시장과 함께 제안했던 '공동 정부' 구상이나 개헌 등의 과제에 대해서는 "앞으로 목소리를 꼭 내야 할 때가 있다면 내겠다"고 말했다. 특히 공동 정부 구상과 관련해서는 "혼자 힘으로 되지는 않을 것이고, 비슷한 뜻을 가진 의원들이 계시니 상의해서 제 역할을 하겠다"고 그는 말했다.
후보 사퇴 후 다른 후보를 지지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지금 말씀드리는 것은 아닌 것 같다"며 즉답을 피했다. 최종 불출마 결심 시점에 대해서는 "한 1주일 계속 고민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2012년 19대 총선을 앞두고 3선 지역구였던 경기 군포를 버리고 고향 대구로 내려가 '지역주의 극복'의 아이콘이 됐다. 당시에는 이한구 의원에게 석패했고, 2014년 지방선거에서도 대구시장 후보로 나섰다가 권영진 시장에게 패해 분루를 삼켰으나, 2016년 4.13 총선에서 소선거구제 시행 이래 최초로 야당(민주당 계열) 의원으로 당선되며 '대구 돌파'의 선봉장으로 불렸다.
이같은 지역주의 극복 성과를 바탕으로 이후 꾸준히 당권·대권 주자로 거론돼 왔으나, 여론조사 지지율에서는 상위권에 오르지 못했다. 결국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게 된 데에는 지지율 정체 현상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불출마 회견에서 "국민의 기대를 모으지 못했다", "제가 준비된 상태가 시대적 고제를 감당하기 어렵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밝힌 것이 그 방증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