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에 따르면 재무개선 약정 추가협상을 진행 중인 주채권은행 산업은행은 1일 금호아시아나그룹에 '대우건설 매각 후 재매입 우선권 부여' 카드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시한 매각 가격은 현 주가 수준인 주당 1만3000원 선으로 인수 당시 가격(주당 2만6200원)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강력 반발하고 나섰다. 너무 싸다는 이유다. 대안으로 그룹은 두 가지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하나는 새로운 재무적 투자자(FI)를 오는 9월까지 끌어들여 유동성 위기를 극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대안은 현재 추진 중인 금호생명과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지분 등 자산 매각과 동시에 계열사별 자산유동화증권(ABS), 신주인수권부사채(BW), 교환사채(EB) 발행을 통해 자산을 끌어들이는 방법이다. 산은은 두 방법 모두 실질적인 대안이 되지 못한다는 입장이다.
산은이 금호 측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은 이유는 오는 12월 돌아오는 풋백옵션(금융자산을 약정된 기일이나 가격에 매각자에게 되팔 수 있는 권리) 만기 이전에 이미 많은 금융회사들이 유동화에 나서 만기연장이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지난 2006년 대우건설 인수 당시 18개 FI로부터 3조5299억 원을 지원받았다. 당시 계약 조건은 올해 12월까지 대우건설 주가가 풋백옵션 행사 가격(3만1500원)에 못 미칠 경우 차액을 보전한다는 것이다.
대우건설이 현 주가수준에 머물 경우 그룹이 부담해야 할 풋백옵션 비용은 총 4조1300억 원선에 달한다. 연장이 점차 어려워지는 마당에 새 FI를 찾기도 쉽지 않고 주가 회복도 여의치 않아 대우건설을 매각해야만 한다고 채권단이 압박을 가하는 이유다.
또 금호생명 등 자산매각은 조달되는 자산이 대우건설 풋백옵션 비용을 상쇄하기에 턱 없이 모자란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