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군은 성평등가족부가 주관한 ‘2025년 여성친화도시’에 선정되며, 성평등 기반의 안전하고 행복한 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성과를 거뒀다고 26일 밝혔다.
여성친화도시 제도는 2022년 제도 개편을 통해 모든 지자체를 신규 협약 대상으로 전환함에 따라, 정선군은 2017년 최초 지정 이후 다시 한 번 국가지정 여성친화도시로 선정됐다.
여성친화도시 지정 사업은 성평등 행정 기반 구축, 정책의 실효성, 주민 참여 확대 등을 평가한다.
정선군은 여성친화도시의 5대 목표인 양성평등정책 기반 구축, 여성 경제·사회 참여 확대, 지역사회 안전 증진, 가족친화 환경 조성, 여성의 지역사회 활동역량 강화 전 분야에서 균형있게 정책을 추진한 점을 높게 평가 받았다.
그동안 정선군은 여성뿐 아니라 아동·노약자·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포괄하는 생활밀착형 성평등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왔다.
전담 인력 확충, 관리직 여성 공무원 비율 제고, 성인지 통계 구축, 강원도 최초 성평등 담당 지정 등 성평등 추진 기반을 강화해 왔으며, 지역 여성 일자리 협의체 구성으로 민관 기관들과의 네트워크 구축으로, 여성친화기업 협약 기반 조성, 여성의 취·창업 지원 등 경제·사회 참여 확대 정책도 다각적으로 추진했다.
아울러 안전 부서 TF 운영, 범죄예방환경설계(CPTED) 기반 안심 보행환경 조성, 안전 모니터링 강화 등을 통해 지역사회 안전 여건을 개선했고, 돌봄종사자 근무환경개선 및 권익증진과 공공형키즈카페 확대로 가족친화 돌봄환경 조성에도 힘써 왔다.
주민 참여 측면에서는 ‘와와군민참여단’의 지속적인 역량강화 교육 및 사회참여 활성화 구축을 통해 지역정책 제안과 검토 과정에 직접 참여하는 구조를 마련했으며, 여성기자단을 구성해 각 지역의 현안 및 젠더관점 기사를 작성, 매월 아라리신문에 게제하는 등 성평등 기반 행정의 지속성을 높였다.
군은 이번 지정을 계기로 군민이 체감하는 변화를 더 폭넓게 만들기 위해 성인지 행정체계를 고도화하고, 보행·안전·돌봄 등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된 분야의 성평등 정책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부서별 성과관리 체계(BSC) 구축을 통해 행정 내 성평등 의식확산 및 제도적 기반을 구축하여 여성친화도시 정책이 일회성 행정이 아니라 지역 고유의 문화로 자리 잡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김덕기 정선군 가족행복과장은 “이번 여성친화도시 지정은 정선군이 꾸준히 추진해 온 성평등 정책과 군민 참여가 함께 만들어낸 값진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모든 군민이 안전하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성평등 기반 정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