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인 1표제' 실시 관련 여론조사에 참여한 당원 비율이 16.81%에 불과함에도 "(찬성율이) 90%에 가까운 압도적 찬성"이라고 강조하자 당내 친명계에서도 비판 목소리가 나왔다.
22일 당내 친명계 모임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는 '당원들이 원하는 건 진짜 당원주권'이라는 논평을 내 "권리당원의 압도적 다수인 83.19%가 여론조사에 불참"했음에도 "압도적 찬성이라는 지도부의 자화자찬이 낯 뜨겁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정청래 지도부의 행보에 대한 당원들의 우려가 점점 커지고 있다"며 "대의원과 당원 모두 1인 1표로 하자는 취지는 좋으나, 의견수렴 방식·절차적 정당성·타이밍 면에서 '이렇게 해야만 하나'라는 당원들의 자조 섞인 목소리가 봇물 터지듯 들려온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또 당원 여론조사가 "이재명 대통령이 G20 해외순방에 나선 기간이어야만 했느냐"며 그 시기도 문제 삼았다.
정 대표는 지난 17일 1인 1표제 개정안을 놓고 전 당원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이에 17% 수준의 당원이 참여했음에도 찬성율이 86.81%로 나타나자 이를 두고 21일 당 최고위원회 모두발언에서 "90%에 가까운 당원의 뜻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고 강조했다.
정 대표는 "반대 의견을 주신 분들의 뜻도 겸허히 새기겠다"면서도 "헌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선거의 기본 정신은 보통·평등·직접·비밀 투표"라며 "대한민국 어느 조직에서도 이 1인 1표의 헌법에서 보장한 평등 정신을 위반해선 곤란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당내 최고위원들도 우려의 뜻을 표했다.
이언주 최고위원은 22일 페이스북에 "당원의 의사를 묻고 이를 당의 정강정책에 적극 반영하려는 당원 주권주의 원칙에는 전적으로 공감하고 찬성한다"면서도 "오랫동안 우리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해 온 열성 당원을 포함한 다수 당원들의 폭넓은 의견수렴 절차를 거치지 않은 채 일부 당 지도부의 의견만으로 당헌당규 개정을 급하게 밀어붙이는 것은 자칫 당 지도부에 대한 불신을 초래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최고위원은 "86.81%라는 압도적 찬성률을 내세운다 해도, 164만여 명 중 16.8%에 불과한 24만여명이 찬성한 결과를 두고 '압도적 찬성'이라며 개정안을 밀어부치는 것은 어불성설일 뿐"이라고도 일침했다.
박수현 수석대변인은 "(1인 1표제에) '숙의의 시간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주신 분은 이언주 이언주 최고위원과 한준호 최고위원, 황명선 최고위원이었다"며 "정청래 대표는 '오늘 당헌당규 개정안에도 대의원 제도와 전략지역에 대한 보완 대책이 포함되어 있지만, 그래도 혹시 더 좋은 의견이 있는지 더 노력해 보자'며 '황명선 최고위원을 단장으로, 이해식 전략위원장을 부단장으로 하는 '(가칭)대의원 역할 재정립 TF'를 구성'할 것을 지시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최고위원 지적을 두고 박 수석대변인은 일부 주장이 사실과 다르다며 맞받았다. 박 수석대변인은 '폭넓은 의견수렴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는 이 최고위원 지적에 "이번 당헌당규 개정의 정신과 방향은 민주당의 시대정신이고, 대선 이전부터 오랫동안 고민하고 토론해 온 '이어달리기'"라며 "(1인 1표제는) 지난 '8.2 임시전당대회'를 관통한 화두였고 당원의 합의였고 당 대표의 공약이었다"고 했다.
이어 "여러차례 비공개 최고위원회에 보고되었고, 전국 지역위원장 워크숍에서 자세히 설명되었고, 17개 시도당을 통해 253개 지역위원회에 회람되었으며, 오늘 최고위원회에 상정되기 전에도 최고위원 대화방에 이미 하루 전에 검토요청 메세지와 함께 업로드되었다"면서 이 최고위원 주장을 반박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