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이재명 정부의 검찰 개혁 관련해서 "민주화 시대 때는 정치군인을 청산했다면 이제는 정치검사를 청산할 때"라며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김동연 지사는 21일 유튜브 채널 <김어준의 겸손은 힘들다 - 주기자 라이브>에 출연해 검찰의 집단 반발을 두고 "공직자가 그런 집단행동을 한다는 건, 말이 안 되는 것"이라며 이 같이 밝혔다.
김 지사는 '대장동 사건' 관련해서 자신의 재임 시절 검찰이 진행한 수사를 공개하기도 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지사에) 당선되자마자 검찰이 54일간 14번 압수수색을 진행했다"며 "심지어 22일간 도청에 검찰이 상주했다"고 전했다.
김 지사는 "당시 제 방까지 압수수색을 한다고 해서 문을 잠근 뒤, 부수고 들어와서 가져가라고 했다"며 "결국 제 PC까지 들고 갔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대장동 사건 관련해서 검찰의 과잉 수사를 언급하며 "지금까지 나온 것을 보면 검찰의 증거 조작과 강압수사가 계속 나오고 있다"며 "예를 들면 민주연구원 부원장이던 김용(을 지칭하는) '용이하고' 이런 말을, 녹취록에 없는 말을 추가하기도 했다"고 주장했다.
검찰은 대장동 개발업자인 정영학 회계사가 대장동 핵심 인사들과 나눈 대화를 녹음한 파일을 바탕으로 일명 '정영학 녹취록'을 작성했고 이를 대장동 사건의 핵심 증거로 사용했다.
하지만 정영학 회계사의 의견서에 따르면 검찰은 정 회계사의 녹취파일을 임의로 해석해 별도의 '검찰 버전 녹취록'을 만들었다. 그러면서 원본 녹취록에는 없던 '용이하고' 등의 표현을 넣었고 이는 이재명 대통령 등의 기소에 주요 근거로 사용됐다.
김 지사는 또한 검찰의 '대장동 사건' 조사 관련해서 "(검사가) 피의자 심문을 했던 변호사에게 배를 가르고 장기를 적출한다는 등, (또한) 아이 사진을 보여주면서 '너 애 안 보겠느냐' 하는 식으로 강압수사를 했다는 이야기가 속속 나오고 있다"며 "그야말로 정치검찰에 대한 전면 개혁이 필요한 증거가 쌓이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현재 진행되는 검찰의 집단 반발을 두고도 "공직자가 그런 집단행동을 한다는 건, 말이 안 된다"라며 "그런 이야기(반발)를 했던 검사장보다 제가 더 오래 공직자 생활을 했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저도 영향력 있다는 공무원으로 구성된 기재부에서 일했다. 기재부에서도 (집단 반발은) 상상을 못 한다"며 "어떤 집단이 그렇게 집단으로 정치적 의사 표현을 하겠나"라고 반문했다.
김 지사는 이재명 정부를 두고는 "성공한 정부, 성공한 대통령을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지난 3년 동안은 윤석열 정부의 역주행에 맞서서 정주행 하는 것에 치중을 했는데, 이제는 새로운, 올바른 궤도로 올라섰으니 이재명 정부가 성공하는데 경기도가 국정의 제1동반자 역할을 해야 되겠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그러면서 "중앙정부가 하는 일을 지금 대한민국 인구의 27%가 살고 있는 경기도가 적극 뒷받침 하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최선을 다해서 새 정부 성공하는데 제1의 국정 파트너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국민의힘을 두고는 "정신 못 차리고 있다"며 "지금 당 대표라는 사람이 '우리가 황교안이다' 이러고 있는 판이니까 참 한심스럽다"고 평가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