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인권위원장·위원 및 사무총장들 "창설 이후 큰 위기…안창호·김용원 즉각 사퇴"

성명 통해 "인권위, 이제 새롭게 출발해야 한다" 주장

전 국가인권위원장과 위원 및 사무총장들이 안창호 위원장과 김용원 상임위원의 즉각 사퇴를 촉구하는 성명을 냈다.

안경환, 최영애, 송두환 등 3명의 전임 인권위원장과 김기중 등 21인 전임 인권위원, 김칠준 등 4명의 전임 사무총장은 20일 성명에서 국가인권위원회(이하 인권위)는 지금 창설 이후 가장 심각한 위기를 맞고 있다"며 이 같이 주장했다.

이들은 "급기야 과장급 간부 직원들까지 실명으로 위원장 사퇴를 요구하는 초유의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며 "이것은 인권위가 더 이상 정상적 인권기구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이 위기의 직접적 책임은 안창호 인권위원장과 김용원 상임위원에게 있다"며 "안창호 위원장은 성소수자에 대한 차별적 인식을 노골적으로 드러내 왔고, 역대 인권위가 역점적으로 추진해 온 차별금지법 제정 노력까지 사실상 중단시킨 장본인"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김용원 상임위원은 막가파식 언행으로 인권위를 조롱거리로 만들었을 뿐 아니라, 채 상병 사망 사건 처리에서 이해할 수 없는 행동으로 특검의 수사를 받는 초유의 사태까지 일으켰다"며 "또한 마지막 희망을 가지고 인권위를 찾아온 민원인을 수사 의뢰하는가 하면 함께 일하는 인권위 직원들을 겁박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무엇보다 심각한 것은, 두 사람이 윤석열 내란 사태 이후 윤석열의 기본권 옹호를 내세워 반역사적 결정을 주도했다는 점"이라며 "헌정질서를 파괴한 권력자에게 인권이란 미명으로 사실상 면죄부를 부여한 이 결정은 인권위 역사상 가장 큰 오점으로 기록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그러면서 "실명으로 사퇴를 요구한 인권위 직원들의 용기 있는 행동에 지지와 연대를 보낸다"며 "인권위는 인권의 최후 보루다. 그 보루가 다시 설 수 있는 첫걸음은, 인권의 가치를 스스로 훼손한 두 사람의 퇴진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인권위는 이제 새롭게 출발해야 한다"며 두 사람의 사퇴를 촉구했다.

인권위 직원들도 지난 17일부터 실명으로 안창호 위원장의 사퇴를 촉구하는 글을 내부 게시판에 올리고 있다. 인권위 차별시정총괄과장 A씨, 부산인권사무소장 B씨 등 과장급 공무원 3명이 실명으로 글을 올려 안 위원장에게 "거취를 결단하라"고 요구했고, 19일에는 인권위 전 조사총괄과장 C씨가 안 위원장의 사퇴를 촉구하는 글을 올렸다.

▲안창호 국가인권위원장이 1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허환주

2009년 프레시안에 입사한 이후, 사람에 관심을 두고 여러 기사를 썼다. 2012년에는 제1회 온라인저널리즘 '탐사 기획보도 부문' 최우수상을, 2015년에는 한국기자협회에서 '이달의 기자상'을 받기도 했다. 현재는 기획팀에서 일하고 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