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 특검팀(조은석 특별검사팀)이 12.3 비상계엄의 구체적 준비 시기를 2023년 10월 이전으로 특정했다. 당초 알려진 준비 시점보다 더 앞당겨졌다.
6일 SBS는 내란특검이 내란 중요임무 종사 혐의로 구속된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의 수첩을 분석한 결과, 그간 지난해 4월 총선 이전으로 추정한 비상계엄 관련 구체적 내용의 작성 시점을 2023년 10월 이전으로 특정했다고 단독 보도했다.
그간 판독이 어렵던 수첩의 한 페이지를 해독한 결과다. 특검은 전담 해독팀을 투입해 그간 해독되지 않았던 군 인사 관련 글자를 해독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
해독 결과 '여인형 화살표 소형기, 박안수 김흥준, 그 아래에 손식' 등의 이름이 확인됐다. 이들은 모두 2023년 10월 전후 진급 또는 인사 대상자였다.
여인형은 2023년 11월 중장으로 진급해 방첩사령관이 됐다. 소형기는 같은 시기 방첩사 2인자로 진급했다. 계엄사령관이던 박안수는 2023년 10월 대장으로 진급함과 동시에 육군참모총장에, 김홍준은 육군본부 참모부장에 각각 임명됐다.
손식도 같은 시기 대장으로 진급해 지상작전사령관이 됐다.
수첩에는 '손식' 이름 바로 아래 '강은 차후'라는 글이 적혔다. 특검은 이를 '강호필은 차후 진급시킨다'는 뜻으로 결론내렸다. 손식 대장의 육사 47기 동기인 강호필은 실제 이듬해인 2024년 대장으로 진급해 후임 지상작전사령관이 됐다.
특검은 특히 수첩의 해당 페이지에 적힌 "별표 역행사 대비, 민주당 쪽, 9사단, 30사" 단어를 중요한 내용으로 봤다.
군에서 통상 계엄 실행은 '행사', 계엄 실행 저지는 '역행사'로 표기한다. 해당 문구는 결국 계엄을 실행한 직후 민주당을 비롯한 계엄 저지 세력이 '역행사'를 시도하면 서울 인근의 9사단과 30사단을 동원할 수 있다고 복, 이를 차단하기 위한 준비를 고려한 것으로 특검은 해석했다.
현재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 첫 논의 시점은 특검의 공소장에 적시된 '지난해 3월 안가 회동'이다. 하지만 이번 수첩 내용에서 새로운 사실이 확인되면서 비상계엄 준비 시점이 그보다 이른 시기로 앞당겨질 가능성이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