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사고로 인해 발생한 국가 행정망 마비 사태의 원인으로 '단일 서버'가 지적되고 있는 가운데 부산시에서도 같은 문제점이 발견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승연 부산시의원(수영2, 국민의힘)은 6일 부산시 시민안전실을 대상으로 한 행정사무감사에서 "부산시도 디지털 재난에 대한 대응 체계가 취약하다"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와 비슷한 상황이 발생 시 행정망 마비가 불가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부산시는 현재 본청 내부 서버에 주요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다. 인재개발원에 백업 서버를 마련해 데이터를 백업하고는 있지만 백업 서버가 곧바로 서비스에 투입될 수 있는 '액티브-액티브' 시스템은 아니다. 때문에 청사 화재나 전산 장애가 생길 경우 복구에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것이 이 의원의 지적이다.
이 의원은 "국내외 공공기관들은 민간 클라우드를 활용해 데이터를 분산하고 있다. 부산시도 단일 서버 구조에서 벗어나 서버 이중화와 민간 클라우드 활용 등의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김기환 부산시 시민안전실장은 "현재 데이터의 70%는 실시간으로 백업이 되고 있다"면서도 "서버 이중화가 필요하다는 데는 공감한다"고 했다. 이어 "장기적으로는 전산 서버 안전망을 확대해 나가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승연 의원은 "데이터 전산망 마비는 도시 기능 전체의 마비로 이어질 수도 있다"면서 "시민안전실에서 정보관리 부서와 긴밀히 협력해 디지털 재난 대응 전략을 조속히 마련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