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은 "김건희 씨가 국가의 수장고나 주요 문화재에 함부로 들어가서 국민들의 역린을 건드린 사태에 대해 발본색원하고 다 확인하겠다"고 말했다.
강 실장은 6일 국회에서 열린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지난 정부의 문제점에 대해서 낱낱이 밝히고 싶은 것들이 한두 가지가 아니"라며 이같이 밝혔다.
강 실장은 다만 "저희가 대통령실에 왔을 때 이미 많은 기록들이 삭제된 상태"라며 대통령실 차원에서 부적절한 사례를 찾아내는 과정에 대한 어려움도 토로했다.
이와 관련해 김준혁 의원은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과 김건희 씨가 경복궁 근정전 위로 올라갔다"며 "문화재를 이렇게 함부로 올라가는 것은 감히 해서는 안 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강 실장은 또 전 부처에 걸쳐 내란 관련 공무원들에 대한 진상 조사가 필요하다는 김영배 의원의 요구에 "관련 조직이 필요하다면 발족을 검토하겠다"며 "더 많은 범위에서 더 많은 것들이 이뤄졌을 가능성을 부인하기 어렵다"고 동조했다.
이날 국감에서 국민의힘은 김현지 대통령실 제1부속실장 출석을 요구한 반면 민주당은 이를 방어하며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비위를 문제삼아 역공했다.
국민의힘 곽규택 의원은 "(김 실장이 맡았던)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은 과거에는 당연히 국감에서 증인으로 출석해왔고, 운영위에서 처음 증인채택을 논의할 때 당연히 총무비서관이 나오는 것 이해했는데, 민주당에서 증인채택을 거부하면서 논란이 커졌다"고 지적했다.
곽 의원은 우상호 정무수석을 향해 "최초에 정무수석이 언론에 '김현지 100% 출석 장담한다'고 했다가 말이 갑자기 바뀌었다"며 "김현지 실장이 나온다고 했다가 안 나온다고 다시 말이 바뀐 이유, 대통령이 지시한 것이냐"고 물었다.
우 수석은 "총무비서관이 부속실장으로 이동한 것은 국회 불출석 때문이 아니라 김남준 전 부속실장을 대변인으로 채택한 인사 때문"이라며 "부속실장이라고 하더라도 출석 의무가 없지만 오전 중이라도 출석을 하려고 했는데 국회에서 거부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자 곽 의원은 "민주당이 제안한 게 오전에만 참여했다가 돌아가겠다는 건데, 오전에 증인으로 나오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나"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김현지 부속실장을 감싸고 도는 것이 대통령의 뜻인가, 아니면 김 실장 본인의 주장인가"라고 따져 물었다.
우 수석은 "국회에서 증인 채택을 하면 반드시 출석시킨다는 것은 정무수석실이 일관된 입장이고, 오전 출석은 오후에 대통령 일정을 부속실장이 수행을 해야 되는 것 때문에 양해를 말씀드린 것"이라며 "(오전 질의) 3시간 정도면 충분히 김현지 부속실장에 대해 제기되는 문제를 충분히 질의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김현지 부속실장이 대통령실과 정부의 인사 실세라는 의혹에 대해 방어전을 폈다. 김기표 의원은 "특정 비서관, 특정 실장, 특정 인물이 실세다, 그 사람이 다 좌우한다, 그 사람을 통해야 된다, 이런 억측과 정치적 공세가 많이 있는 것에 동의하느냐"고 강훈식 실장에게 질의했고, 강 실장은 "전혀 동의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강 실장은 "모든 인사는 투명하고 민주적으로 진행되고 있다"며 "억울하고 가짜 뉴스나 가짜 정보, 허위사실 정보에 일일이 대응하지 않고 그것을 견디고 있다"고 답했다.
한편, 강 실장은 한미 관세협상 결과를 담은 설명 자료 이른바 '팩트시트' 발표 시점에 대해 "대략 이번 주를 넘기지 않을 것이란 정도로 원만한 협상과 협의가 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팩트시트 협상이 진행 중이고 막바지 단계에 있다"고 밝히며 "관세만이 아니라 안보에 관한 것들도 팩트시트에 담긴 다음에 MOU를 체결하게 되고, MOU도 협상의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