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진주 한국산업기술시험원(KTL)은 전 세계 전자산업의 품질·안전·환경 표준을 개발하는 글로벌전자협회와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관련 표준화·시험·평가·교육 협력 강화에 나섰다고 5일 밝혔다.
정부는 지난 8월 '주력산업 4대 제조강국 실현'을 국정과제로 삼고 반도체·배터리·자동차 등 주력산업 고도화와 소부장 산업의 경쟁력 확충에 나섰다. 이와 관련해 최근 자동차 전장(전자·전기장치)·의료기기·항공우주·통신 기반(인프라) 등 여러 제조 산업 분야에서 전자조립품의 신뢰성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는 접합·납땜 등에서의 미세한 불량도 제품 전체의 성능과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고집적(HDI) 인쇄회로기판(PCB)·미세 패키지(Micro Package)·자동화 조립·3차원(3D) 부품 탑재 등 첨단 제조기술이 확산됨에 따라 외관검사와 허용기준의 엄격한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KTL은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정부정책을 지원하고 국내 중소·중견기업의 글로벌 인증과 시장 진출을 뒷받침 하기 위해 글로벌전자협회(GEA)와 손을 잡았다.
GEA는 글로벌 전자산업을 대표하는 비영리 국제기구로 인쇄회로기판·조립·납땜·검사 등 전자제품 제조 전 과정에 대한 사실상표준을 제정·보급하고 있다.
이러한 표준(IPC 시리즈)은 전 세계 제조·검사·인증기관에서 품질 판단의 공통 기준으로 활용되며 글로벌 공급망 내 품질 일관성 확보와 상호 호환성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KTL은 보유한 시험평가 기술을 GEA 핵심 표준을 결합해 전자산업의 신뢰성 강화와 표준화에 나설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이번 협약에는 ▶전자제조 분야의 사실상표준 공동 개발 ▶IPC 국제표준 기반 교육·훈련 프로그램 공동 운영 ▶신뢰성 시험평가 연계 ▶표준화포럼 공동개최 등이 담겼다.
또한 KTL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전자산업 신뢰성 검증과 국제표준 대응 강화 ▶교육·훈련을 통한 전문인력 양성 ▶산업계 의견을 반영한 표준포럼 운영 등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KTL 송태승 디지털산업본부장은 "이번 협약은 전자산업의 품질 신뢰성과 시험평가 기술을 국제표준과 연계하기 위한 전략적 협력의 출발점이다"며 "앞으로도 KTL은 산업AI와 전자 등 융합 산업 분야에서 표준화와 시험인증 전문기관으로서 국내 기업이 글로벌 시장에서 신뢰받는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