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5 대책 먹혔나…수도권 아파트 매매심리, 9월 이후 첫 하락

아파트 매매수급지수 1주 전보다 서울 2.2p, 경기 0.4p↓

수도권 아파트 매매심리가 약 두 달만에 하락세로 돌아섰다. 해당 지역 주택 매매 규제를 강화한 10.15 대책의 영향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2일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수급동향을 보면, 10월 넷째 주(10월 27일) 수도권 아파트 매매지수는 100.3으로 직전 주 101.2보다 1.1포인트 내렸다. 이는 9월 1일(97.4) 이후 처음으로 전주보다 하락한 것이다.

같은 기간 변동 내역을 서울·경기로 나눠보면, 서울의 하락 폭이 컸다.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3.2로 전주 대비 2.2포인트, 경기는 99.2로 전주 대비 0.4포인트 내렸다.

서울 안에서는 강북 하락 폭이 컸다. 강북권역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101.6으로 전주 대비 3.2포인트, 강남권역은 106으로 전주 대비 1.3포인트 하락했다.

매매수급지수는 부동산 매매 시장의 수요·공급 비율을 수치화한 지표로 100을 기준으로 높을수록 공급이, 낮을수록 수요가 많다는 것을 뜻한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올해 초부터 상승세를 보이다 △수도권 주택담보대출(LTV) 6억 원 제한 △주택 보유 목적 다주택자 주담대 금지 등이 골자인 6.27 대책 이후 한풀 꺾였으나, 9월 이후 다시 오름세로 돌아섰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서울 전역·경기 12개 지역 토지거래허가구역 등 지정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에 전세대출 포함 등을 담은 10.15 대책을 발표하자, 12일 만에 매매심리가 꺾였다는 통계가 나온 것이다.

수도권 아파트 가격 상승률도 낮아지는 중이다. 10월 넷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은 0.23%로 전주에 비해 0.27%포인트 내렸다. 경기도 0.14%로 전주에 비해 0.11%포인트 내렸다.

다만 수도권 아파트 매매시장이 공급 우세로 돌아서거나, 가격 상승이 멈춘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정부가 남은 정책 카드인 보유세 인상을 꺼낼지 주목된다.

이와 관련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10·15 대책 발표 당일 "세제 문제도 고민해야 한다. 보유세가 낮은 건 분명한 사실"이라고 했다.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도 지난달 20일 "우리나라는 부동산 보유세는 낮고 양도세는 높아 '락인(매물 잠김) 현상이 심하다"고 짚었다.

▲정부의 연이은 부동산 대책에도 소비자들의 집값 상승 기대는 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난 28일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도심 아파트 모습. 이날 한국은행이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10월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22로 전월보다 10포인트 상승했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최용락

내 집은 아니어도 되니 이사 걱정 없이 살 수 있는 집, 잘릴 걱정하지 않아도 되고 충분한 문화생활을 할 수 있는 임금과 여가를 보장하는 직장, 아니라고 생각하는 일에 아니라고 말할 수 있는 나, 모든 사람이 이 정도쯤이야 쉽게 이루고 사는 세상을 꿈꿉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