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농협 생강출하조절센터 ‘특혜·불공정’ 논란… “농민 외면한 탁상행정”

조합원 수매 물량 침해하는 ‘불공정 사례’ 발생 지적

농촌 인력 감소와 고령화, 불법 외국인 근로자 단속 여파로 일손 부족이 심화되면서 수확 시기를 놓친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농산물 수매와 가격 하락이 맞물려 농가의 부담이 커지는 상황이다.

안동은 전국 생강 생산량의 약 54%를 차지하는 최대 주산지로, 2025년 생산량은 약 4천749톤에 달한다. 생강 수매가격은 특품 20kg당 8만~8만7천 원, 상품 7만~7만7천 원, 중품 6만~6만7천 원, 재강·구강은 5만 원으로 책정됐다.

▲ 안동농협 생강조절센터 전경. ⓒ 프레시안(김종우)

올해는 생산량이 전년 대비 40% 이상 늘었고, 이에 따라 수매가격은 다소 하락했다. 몇 해 전 생강 가격 폭락 사태는 피했지만, 안동농협이 운영하는 생강출하조절센터의 역할을 두고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안동농협 조합원 C 씨는 “전국 생강 가격을 좌우하는 안동농협의 수매가 잠정 확정이 문제의 핵심”이라며 “수매 시기를 놓친 농민들은 포대(20kg)당 최소 만 원 이상의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실질적인 검증 없이 확대된 계약재배로 인해 직접 농사를 짓는 농민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일부 해당농협 조합원에게 계약재배 혜택이 편중되면서, 직접 생강을 재배하지 않는 A 농협 조합원이 B 농협 조합원에게 종자를 제공해 농사를 짓고, 다시 A 농협 조합원 명의로 수매를 진행하는 사례가 빈번하다”고 덧붙였다. 이로 인해 다른 조합원의 수매 물량을 침해하는 불공정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 다른 조합원 L 씨는 “한두 평 농사도 아닌데 수확 시기 며칠 차이로 수매를 놓쳐 손해가 막심하다”며 “농협이 농민의 처지를 고려하지 않고 사무적으로만 접근하는 것은 부당하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안동농협 생강출하조절센터장은 “절기상 상강 무렵이 본격적인 수매·출하 시기인데, 그 시기를 놓치면 센터 운영에도 큰 어려움이 따른다”며 “수매가는 개시 전 4개 농협이 협의해 농민들에게 최대한 도움이 되는 수준으로 결정했다”고 해명했다.

또한 “타 농협 조합원이 명의를 도용해 본 조합에 생강을 납품한 사례는 전혀 없다”며 관련 의혹을 일축했다.

한편, 지난해에는 일부 조합원들이 수매가 종료된 이후에도 생강을 납품했다는 이야기가 농민들 사이에서 전해지면서, 형평성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생강 수매를 기다리며 줄 서 있는 농민들의 트럭과 생강 적재 팔레트. ⓒ 프레시안(김종우)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김종우

대구경북취재본부 김종우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