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APEC] 포스코그룹 장인화 회장 “한-호주 공급망 협력, 지속가능한 미래 위한 새로운 다리 될 것”

‘2025 APEC CEO Summit’ 기조연설에서 밝혀...

▲ 포스코그룹 장인화 회장이 '2025 APEC CEO Summit'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 포스코 제공

장인화 포스코그룹 회장은 30일 경주 예술의 전당에서 열린 ‘2025 APEC CEO Summit’ 기조연설에서 “포스코그룹은 호주와의 협력을 통해 지속가능하고 회복탄력성 있는 글로벌 공급망 구축의 모범을 만들어가고 있다”며 “이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한 새로운 다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장 회장은 APEC 정상회의 주제인 ‘우리가 만들어가는 지속가능한 내일(Building a Sustainable Tomorrow)’을 언급하며 “이재명 대통령이 강조한 ‘공급망 협력’은 역내 신뢰 회복의 핵심 과제”라며 “포스코그룹의 한-호주 협력은 그 비전을 실천으로 구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포스코그룹과 호주의 협력 관계가 1971년 철광석 공급으로 시작돼 50여 년간 이어져 왔으며, 현재 포스코 원료의 70%를 호주가 공급하는 등 양국은 철강·이차전지·청정에너지 등 3대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포스코는 철강 부문에서 석탄 대신 수소를 사용하는 ‘HyREX’ 제철공정을 추진하며, 호주의 재생에너지 기반 청정수소를 활용해 탄소저감 철강제품을 생산할 계획이다. 또한 이차전지 핵심 원료인 리튬과 니켈, 희토류 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호주 광산과의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청정에너지 분야에서도 포스코인터내셔널이 2022년 호주 Hancock Energy와 함께 천연가스 개발사 Senex Energy를 인수했으며, 포스코홀딩스와 포스코E&C는 수소 생산 기술 협력도 검토 중이다.

장 회장은 일본 마루베니그룹, 중국철강공사 등과 함께 추진 중인 로이힐 광산 및 HBI(Hot Briquetted Iron) 프로젝트를 언급하며 “아태 지역 주요 경제 주체들이 협력해 지속가능한 공급망을 구축해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한 “포스코그룹은 호주의 선진 재난대응 체계를 벤치마킹해 한국 내 자연재해 대응 훈련, 대피시설 개선, 소방장비 지원 등 사회적 회복력 강화에도 나서고 있다”며 “기업의 역할을 경제적 성과에 국한하지 않고 사회적 가치 창출로 확장하겠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장 회장은 이번 서밋의 키워드인 ‘Bridge, Business, Beyond’를 인용하며 “지속가능한 내일은 선언이 아니라 실천으로 완성된다”며 “포스코그룹은 한-호주 파트너십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를 향한 다리를 놓고 있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김창우

대구경북취재본부 김창우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