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김재섭 의원이 29일 '이재명 대통령 탄핵소추안을 상정하자'는 김민수 최고위원의 요구에 "너무 무리한 주장"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이날 SBS 라디오에 출연해 "(김 최고위원의) 이야기에 이어서 이 대통령을 탄핵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의원들이 한 분도 없다. 이는 (김 최고위원) 개인의 의견"이라고 일축하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이 대통령의 지금 누적된 실패는 결국 언젠가는 터질 것"이라며 "우리가 탄핵소추안을 낸다고 해서 통과될 것도 아니"라고 했다.
이어 "탄핵 카드는 정말 극단적인 경우에 나와야 되는 것"이라며 "이 대통령의 실정은 결국 다 평가받을 것이기 때문에, 우리가 먼저 나서서 앙갚음할 필요는 없다"고 잘라 말했다. 김 의원은 "(탄핵소추안 발의는) 실익이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원수를 앙갚음하려고 하지 말고 마음 차분히 기다리다 보면 원수의 시체가 강에 떠내려온다는 말이 있다"며 "이 대통령과 민주당이 지금 보여주는 행태는 국민들께서 아주 냉정하게 보고 계실 것이고, 우리는 차분한 마음으로 민생문제를 잘 챙기는 게 맞다. 그러면 알아서 원수의 시체가 떠내려올 것"이라고 했다.
앞서 김 최고위원은 지난 27일 페이스북을 통해 "특검법까지 바꿔가며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인권유린 구속수사 131일째"라며 "범야권에 대한 정치 보복, 정치 탄압, 야당 말살"을 주장하더니, 해당 글 말미에 "이재명 탄핵소추가 막힐지언정 탄핵소추안 상정하자"고 촉구했다.
한편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이자, 서울 도봉구를 지역구로 둔 김 의원은 정부의 10.15 부동산 대책과 관련해 "여당 입장에서도 곤란해한다는 걸 제가 느꼈다"고 했다.
그는 특히 지난 27일 정무위의 금융위원회 등 종합 국정감사에 출석한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서울 강남 지역에 소유한 아파트 두 채 중 한 채를 최근 실거래가보다 '4억 원' 높게 매물로 내놓아 추가 논란을 자초한 점을 짚었다. 이 원장은 지난 21일 금감원 국정감사에서 다주택자 논란에 관해 '가족들이 아파트 두 채에 공동 거주하고 있고, 이 중 한 채를 자녀에게 양도하겠다'고 밝혔는데, 이후 꼼수 증여 등 비판이 일자, 양도가 아닌 '처분'하겠다고 입장을 바꾼 바 있다. 하지만 이후 이 원장이 아파트를 시세보다 4억 원 높게 내놓은 사실이 밝혀졌다.
김 의원은 "지난달 (이 원장 소유 아파트의) 시세가 18억이라고 한다. 그런데 그걸 20억에 내놓고, 22억으로 다시 올려서 냈다"며 "부동산 대책을 설계한 주요 인사의 아파트값이 한 달 사이에 4억 올랐다는 거다. 이만큼 단적으로 이번 부동산 정책의 실패를 보여주는 사례가 어디에 있겠나"라고 비판했다.
김 의원은 "(여당 의원들은) 애초에 부동산 얘기를 안 꺼내려고 한다. 하물며 그 말 많고, 말 막하는 정청래 대표 역시 부동산 이슈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지 않나. 자신 없는 것"이라며 이 원장에 대해서는 "이제 위증으로 가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원장이 사퇴해야 한다고 생각하나'라는 진행자의 물음에 김 의원은 "이번 부동산 정책 설계한 분들 다 사퇴해야 한다"고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