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사태와 관련, 홈플러스 소유주인 사모펀드 운영사 MBK 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이 "우리는 대기업이 아니고 사모펀드 운용사이며 (나는) 대기업 총수가 아니다"라며 자신은 관련 의사결정에 관여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은 14일 국회 정무위원회의 공정거래위원회 등 대상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말하고 "13명의 파트너가 각자 자기 분야를 담당하고 있으며 내 담당은 펀드-레이징(fund raising)"이라고 했다. 자신이 '무한 책임'을 져야 하는 것은 아니라는 취지다. 그는 다만 "제 회사"라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부연했다.
MBK가 홈플러스 납품 대금에 왜 보증을 서지 않느냐는 질문에는 "내가 관여한 부분이 아니다"라고,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을 신청한 원인과 관련해서도 "내 권한이 아니라 홈플러스 이사회가 결정한 것"이라고 그는 주장했다.
김 회장은 지난달 19일 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와 만나 '매수 협상 중'이라고 했지만, 홈플러스는 지난 2일 공개경쟁 입찰 공고를 냈다. 민주당 김남근 의원은 "인수자가 없다고 홈플러스를 청산하려는 것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김 회장은 이와 관련 "M&A가 성사되는 것만이 홈플러스가 살 수 있는 방법"이라며 "M&A를 성사시킬 수 있게 많이 도와달라"고 했다가 여야 감사위원들의 강한 반발을 사기도 했다. 민주당 이인영 의원은 "국회와 정부에 M&A를 도와달라? 도대체 국회를 어떻게 보느냐. 여기가 MBK가 M&A 하는 것을 도와주는 곳이냐"며 "국회에 대한 모독"이라고 성토했다.
MBK가 홈플러스 정상화를 위해 투입한 자금이 현재까지 김 회장 자신의 사재 1000억 원을 포함한 3000억 원이고 앞으로 최대 2000억 원을 추가 투입하겠다고 김 회장이 밝힌 데 대해 '지원을 더 늘려야 하지 않느냐'는 질문이 나오기도 했다.
김 회장은 "노력은 하겠지만 현재로서는 법인과 개인 자금 여력이 부족하다"며 자기 재산이 14조 원에 달하는 데 대해선 "법인(주식)의 가치"라며 "비상장 회사라 주식을 팔아 재산을 만들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고 했다.
주병기 공정거래위원장은 MBK파트너스가 알짜 기업을 인수해 매각하는 이른바 '먹튀' 행각을 보이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지금까지와는 다른 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라며 "위법행위에 대한 엄정한 제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여야 감사위원들은 모두 비판적 자세로 알관헀다. 민주당 김현정 의원은 "극약처방을 내려야 한다"며 "미국인인 김 회장을 가수 유승준처럼 입국금지 조치를 해야 한다"고까지 했다.
민주당 이강일 의원은 "홈플러스를 무리하게 인수해 놓고 경영 전략은 없었다"며 "MBK는 (기업을) 인수할 때마다 투자와 성장을 약속하지만, 배당과 재매각으로 투자금 회수만 계속해 시장에서 '먹튀'라고 한다"고 했다.
국민의힘 소속 윤한홍 정무위원장도 "내가 봐도 M&A가 안 되면 청산으로 흘러가는 것 같다"고 지적했고, 같은 당 유영하 의원은 "유동성 문제가 터진다는 것을 알고 어느 시점에 엑시트를 할지 시뮬레이션을 다 돌려봤을 것"이라며 "대한민국을 만만하게 보지 말라"고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