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4명이 북한과의 통일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는 최근 조사 결과가 나왔다. 다만 20대에서는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이 절반을 넘어 세대 간 인식 격차가 확연했다.
30일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은 올 7~8월 성인 남녀 1200명을 대상으로 1대 1 면접 조사 방식으로 '2025 통일의식조사'를 실시해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밝혔다.
조사 결과를 보면 "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자 비율이 41.1%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36.9%) 대비 4.2%포인트 상승한 결과다. 반면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30.4%로 집계됐다. 전년(35.0%)보다 4.6%포인트 감소했다.
지난해 조사에서 "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 비중(36.9%)은 2007년 조사 이래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 비중(35.0%)은 조사 이래 가장 컸다. 하지만 올해 조사에서는 이같은 상황이 반전했다.
연령별 통일 인식 격차가 두드러졌다. 20대에서는 "통일이 필요하지 않다"는 응답이 50.7%로 과반을 넘었다. 과반을 넘은 건 최초다. 20대에서 "통일이 필요하다"는 응답자 비율은 24.4%에 불과했다.
통일 방식으로는 "점진적으로 통일되는 것이 좋다"는 응답 비중이 47.4%로 가장 컸다. "현재대로가 좋다"는 응답은 30.6%였다.
특히 20대와 30대에서는 "현재대로가 좋다"와 "통일에 대한 관심이 별로 없다"는 응답자 비중의 합이 각각 56.7%, 54.2%로 과반을 넘었다. 청년세대의 통일에 대한 거부감이 다른 연령에 비해 컸다.
통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이유로는 "통일에 따르는 경제적 부담"이 33.0%, "통일 이후 생겨날 사회적 문제"가 29.5%로 꼽혔다.
통일이 남한에 이익이 될 것이라는 응답자 비율은 53.6%로 전년(43.0%)보다 늘었지만, "이익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답변도 46.4%로 과반에 가까웠다.
특히 통일이 이념 갈등, 범죄, 지역 갈등, 빈부격차, 부동산 투기 등을 악화시킬 것이라는 응답이 전체의 60%를 넘어 사회문제 악화 우려가 큰 모습이 나타났다.
북한 핵에 대한 불신은 여전했다. "북한은 핵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은 89.7%였고, "북한 인권 상황이 심각하다"는 응답도 82.5%에 달했다. 특히 "북한 정권이 통일을 원하지 않는다"는 인식은 83.1%로, 조사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정부 대북정책에 대한 평가는 "만족한다"는 응답이 52.0%로 지난해보다 8.9%포인트 올랐다.
통일평화연구원은 "2025년 대북인식에서 안보불안은 완화됐으나 북한 정권에 대한 통일회의론이 역대 최고 수준으로 높아졌다"며 "세대·지역·이념 간 인식 격차도 다시 확대되는 양상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은 2007년부터 통일과 북한, 대북정책, 주변국,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국민 인식을 조사해 오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