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김주애, 방중으로 유력 후계자 입지 다져…혁명 서사 확보"

"방중 일정 부분 한계도"…북중-북러 회담서 이견 관측

국가정보원이 북한 김정은 북무위원장의 중국 전승절 계기 방중 당시 딸 김주애가 동행한 것에 대해 "김주애에게 해외 경험을 쌓게 하면서, 그러나 공개 행사장에는 등장하지 않게 부분 부분만 등장하도록 해서 유력 후계자로서 입지를 다진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국정원은 11일 국회 정보위원회 비공개 회의에서 이같이 보고했다고 정보위 여야 간사인 더불어민주당 박성원, 국민의힘 이성권 의원이 기자들에게 전했다.

국정원은 "김주애는 방중 기간 대사관에 머물면서 외부 출입을 자제했고, 귀국 시에도 전용 열차에 미리 탑승해 언론 노출을 회피해 온 점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유력 후계자 입지에 필요한 혁명 서사는 충분히 확보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김주애 동행 방중 취지 자체는 기본적으로 김주애 세습을 염두에 둔, 하나의 서사를 완성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분석했다.

이 의원은 이날 국정원과의 질의 과정에서 '김주애를 제외한 김 위원장의 자녀 여부' 질문이 나왔다며 "(김 위원장의 다른) 자녀가 장애를 갖고 있거나 유학을 갔다는 등 여러 가지 설이 있지만, (국정원은) 유력하게 보지 않았다"고 전했다. 국정원은 "특히 유학의 경우 아무리 존재를 숨기려 해도 드러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유학 가능성은 높게 보지 않는다"고 국회에 보고했다고 한다.

국정원은 "김 위원장은 스스로 평가하기에 방중에서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고 보는 거 같다"며 "북중러 3국 간 연대를 과시하는 그림으로 '정상 국가의 지도자'라는 모습을 보이려 했는데, 그런 모습을 연출하는 데 상당히 성과가 있었다고 자평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다만 국정원은 "방중에서 일정 부분 한계도 있다"며 북한과 중국, 북한과 러시아 간 정상회담에서는 이견이 있었던 것으로 평가했다. 국정원은 "북중러가 그림상으로는 3자 연대 모습을 보였지만, 실제로 3자 정상회담이 있었다든지, 3자 간 무엇을 하자는 구체적 정책 협의 플랫폼을 구축하는 진전은 없었다"며 "이견이 있었던 것"이라고 봤다.

또한 "북중 양측의 정상회담 결과 보도문도 입장 차이가 보인다"며 "경제협력에서 김 위원장은 '호혜적 경제협력 심화'라고 발언했는데, 이를 중국만 공개하고 북한 측은 공개하지 않았다"며 "마치 북중 경제협력을 북한이 원한다는 모습을 북측에서 노출시키려 하지 않은 것 아닌가"라고 분석했다. 국정원은 "북한이 중국에 제재 완화 등 경제 협력 확대를 요구했는데, 충분한 반응이 중국에서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김 위원장의 건강에 관해서는 국정원은 "(방중) 행사 전체 일정을 특별한 문제 없이 무난히 소화했다. 건강에 큰 이상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며 "초고도 비만이라 가끔 땀을 많이 흘리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가쁜 숨을 내쉴 때도 있었지만, 심박이나 혈압 등 대부분이 정상 범위에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했다.

김 위원장의 방중 관련 외교 행태에 대해서는 "다자 외교 데뷔에 따른 긴장과 미숙함이 보여지는 측면 있었다"며 "한편으로 김 위원장과 김주애의 생체 정보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만전을 기하는 모습이 관찰됐다"고 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일 현지시간 오후 4시 중국 수도 베이징에 도착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 통신이 공개한 사진에 따르면 김 위원장의 딸 주애(붉은 원), 조용원·김덕훈 당 비서, 최선희 외무상 등이 동행했다.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김도희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