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취임 1년도 안 돼 계엄 구상?… "총살당해도 싹쓸이" 발언 특검 조사

윤석열 전 대통령이 취임 초인 2022년 말 식사 자리에서 "내가 총살당하는 한이 있어도 싹 쓸어버리겠다"는 격한 표현을 사용하며 비상계엄 선포 가능성을 언급했다는 증언을 특검이 조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1일 <CBS노컷뉴스>는 조은석 특별검사팀(내란특검)이 윤 전 대통령의 2022년 12월경 국민의힘 지도부와 저녁 자리에서 한 발언의 경위와 사실관계를 확인 중이라고 보도했다.

해당 보도를 보면, 윤 전 대통령은 미국 순방 중 논란이 된 '바이든 날리면' 발언 논란 이후 한남동 관저에서 국민의힘 지도부, 대통령실 수석비서관 등 20여명과 함께 술자리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윤 전 대통령은 분위기가 무르익자 여소야대 정국의 답답한 상황을 토로하며 "(정국 타개법으로) 비상대권이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내가 총살당하는 한이 있어도 싹 쓸어버리겠다"는 표현도 했다.

이 술자리에 참석했던 김종혁 전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CBS노컷뉴스>에 "대통령이 왜 저렇게 격렬하게 '싹쓸이한다'는 얘기를 하는지 놀랐는데 비상계엄을 선포하는 것을 보고 그때 생각이 났다"며 "끊임없이 마음속에 그런 생각(계엄)을 갖고 있던 게 아닐까"라고 말했다.

당초 윤 전 대통령이 계엄을 최초로 논의한 시점은 지난해 3월로 알려졌다. 하지만 해당 발언을 보면 이미 취임 초부터 윤 전 대통령이 계엄을 염두에 둔 정황이 드러난 모습이다.

여태 알려진 윤 전 대통령의 최초 계엄 논의 시기는 2024년 3월 말경 삼청동 안가에서다. 이 자리에서 윤 전 대통령은 김용현 전 대통령경호처장, 신원식 전 국방부 장관, 조태용 전 국가정보원장,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을 만나 "시국이 걱정된다. 비상대권을 통해 헤쳐나가는 것밖에 방법이 없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 나온 '비상대권'이 계엄 선포를 지칭한 것으로 풀이됐다. 이번 보도를 보면 이 '비상대권' 발언이 취임 초에 이미 나온 셈이다.

특검은 계엄 가능성 언급 시기가 윤 전 대통령 취임 1년도 되지 않은 2022년 말부터 나왔을 가능성을 두고 2022년의 '비상대권' 발언이 단순 취중 언사였는지, 임기 초부터 사실상 계엄을 구상했음을 보여주는 정황인지를 확인할 예정이다.

관련해 특검은 김 전 최고위원을 비롯한 당시 참석자와 조사 일정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이대희

독자 여러분의 제보는 소중합니다. eday@pressian.com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