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이민당국이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엔솔) 배터리공장 건설현장에서 이민 단속을 벌여 한국인 300여 명을 집단 구금한 사태와 관련, 외교부 현장대응반이 구금된 한국인들에 대한 영사면담을 시작했다.
주애틀랜타 총영사관 소속 영사가 6일(이하 현지시간) 조지아주 폭스턴에 위치한 ICE 관할 구금시설에서 수감된 한국인들을 만났으며, 면담에서 기본적인 인도적 문제나 건강상 불편함이 없는지 확인하고 미 측에 이에 대한 배려를 요청하고 있다고 <연합뉴스>가 외교부 현장대책반 관계자를 인용해 폭스턴 현지발로 보도했다.
외교부는 조기중 워싱턴총영사를 반장으로 현장대책반을 설치해 대응에 나서고 있으며, 300여 명 전원을 최대한 신속하게 면담하겠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불법 여부 등 시비는 나중에 가리더라도 일단 이들이 조속히 석방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오후 구금시설을 조 총영사는 시설 운영 당국을 면담하고 취재진과 만나 "우리 국민이 지내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최대한 배려해달라고 얘기했고 실무진에서 가능한 방안들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고 말했다고 <연합>은 전했다.
조 총영사는 "우선 담당 영사가 안에 시설을 확인했고, 오늘 면담한 분들은 건강한 모습으로 잘 지내고 있다"며 "오늘 확인된 분도 있고 안 된 분도 있는데 모든 분을 확인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예상되는 석방 시기에 대해서는 "지금 말할 수 있는 사항이 없다"고 말을 아꼈다.
앞서 미 이민세관단속국(ICE)은 지난 4일 조지아주 서배나의 현대차그룹-LG엔솔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국토안보수사국(HSI)·마약단속국(DEA) 등과 대대적인 합동단속을 벌여 '불법 고용 및 연방 범죄'를 단속한다며 한국인 300여 명을 포함해 475명을 체포·구금했다.
ICE 단속작전의 직접적 명분은 수색영장에 적시된 중남미 출신 추정 불법체류자 4명이었으나, 이들을 빌미로 단속이 시작되자 H1B 전문비자 대신 전자여행허가(ESTA)나 B1 단기비자로 입국한 뒤 공장 건설 작업에 합류한 한국인들도 대거 체포됐다.
LG엔솔 협력사 현지법인의 한 관계자는 6일 오후 통신과의 인터뷰에서 "(구금된 한국인 협력사 직원은) B1·B2·ESTA로 온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구금된 직원 한 명과 통화했다며 이 직원이 "밥도 주고 샤워도 할 수 있지만 열악하다", "수갑은 차지 않고 있다"고 상황을 전했다고 말했다.
한 현지이민 전문 변호사는 취재진과 만나 "ICE 관계자로부터 지금 들은 이야기로는 '수요일(10일)까지 모든 한국인을 본국으로 돌아가게 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협상 중'이라고 한다"고 전했지만, 일각에서는 미 이민당국이 경직된 태도를 보일 경우 구금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한편 LG엔솔 최고인사책임자(CHO)인 김기수 전무가 현지 대응을 위해 한국시간 7일 오전 인천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향했다. 김 전무는 "지금은 LG엔솔 직원들과 협력업체 직원들 모두의 신속한 조기 석방이 최우선"이라며 "정부에서도 총력을 다해 대응해주고 있는 만큼 모두의 안전하고 신속한 복귀를 위해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