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웅포초 '학생의 절반'이 유학생…폐교 위기 극복 교실엔 '웃음소리'

전국이 주목하는 '익산형 농촌유학'…도시 가족 정착

"농촌에 왔더니 아이가 웃음을 되찾았고 가족의 삶도 달라졌어요."

전북자치도 익산시 웅포면에 있는 웅포초등학교는 농촌유학 프로그램을 운영해 전체 학생 수 16명의 절반이 유학생이다. 도시 학생들의 전입이 학교 유지의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

웅포초는 불과 몇 해 전까지만 해도 학생 수 감소로 폐교 위기에 놓였다. 하지만 농촌유학 덕분에 교실에 웃음이 돌아오고 교사·학부모·지역 주민들이 학교 공동체를 중심으로 다시 뭉치는 변화를 체감하고 있다.

▲전북자치도 익산시 웅포면에 있는 웅포초등학교는 농촌유학 프로그램을 운영해 전체 학생 수 16명의 절반이 유학생이다. 도시 학생들의 전입이 학교 유지의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 ⓒ익산시

익산시는 웅포초를 농촌유학 거점학교로 지정하고 교육발전특구 사업을 통해 체류 공간을 정비했다.

리모델링부터 가구·생활용품 지원 등 주거 기반을 갖춰 도시 가족들이 익산에 정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학교도 살리고 마을도 살리고 아이들도 뛰노는 웅포가 됐다.

'익산형 농촌유학'이 단순한 교육 프로그램을 넘어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는 정책적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아이들의 발걸음 하나가 지역학교를 살리고 가족의 정착으로 이어지는 구조가 실제로 작동하면서 지역사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는 것이다.

익산시는 올해 2학기 농촌유학 프로그램을 통해 도시 유학생 5명(가족 포함 12명)을 추가 유치하는 등 현재까지 총 8명의 유학생을 포함해 17명의 가족이 웅포면에 정착했다.

익산형 농촌유학은 도시 아이들이 일정 기간 농촌 마을에 거주하며 학교와 마을공동체를 함께 경험하는 정주형 프로그램이다. 단순한 학습 위주의 교육을 넘어 자연 속에서 뛰놀고 마을 주민과 교류하며, 함께 밥을 먹고 자라는 생활 중심형 교육이 이뤄진다.

유학 중인 한 학생은 "학교 수업이 끝나면 친구들과 뛰어놀고, 밤에는 별을 볼 수 있어 행복하다"며 "도시와 다른 환경에서 오히려 공부도 더 집중하게 된다"고 소감을 밝혔다.

한 학부모도 "아이의 생활 습관과 성격이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다"며 "선생님과 마을 어르신들이 따뜻하게 아이들을 품어주니 안심된다"고 말했다.

정헌율 익산시장은 "농촌유학은 도시 아이에게는 새로운 성장의 기회를, 농촌에는 생명력을 불어넣는 양방향 정책"이라며 "교육을 매개로 정주 여건을 개선하고, 실질적인 인구 유입 성과로 연결되는 지속가능한 정책으로 발전시키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박기홍

전북취재본부 박기홍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