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자치도 익산시의 상가 공실 문제가 심각성을 넘어서고 있어 '빈 상가 활성화 방안'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선 익산시의원은 4일 '제272회 임시회' 5분자유발언을 통해 "올 2분기 한국부동산원의 익산시 중대형 상가 공실률을 살펴보면 익산역 인근 상가 공실률은 28.4%에 달하며 동일 지역 소규모 상가 공실률도 11.3%를 기록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전북 중대형 상가 공실률 평균 18.1%와 전북 소규모 상가 공실률 평균 7.1%보다 높아 익산시 구도심 상가 현황의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구도심뿐만 아니라 익산시 전역의 상가들도 같은 문제를 겪고 있다.
상가 공실률 증가는 단순히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넘어 도시 전체의 이미지 저하와 지역 공동체 붕괴로 이어질 수 있는 심각한 문제라는 지적이다.
빈 상가들이 증가하면서 도시의 슬럼화로 인한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과 지역 경제 활력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세종시의 경우 2024년 전국 최초 '상가 공실박람회' 개최로 수요자와 공급자의 만남의 장을 마련했다. 서울특별시와 광주광역시는 도시계획 조례 개정 등을 통해 주거외 용도 비율을 낮춰 실질적인 상가 공급을 줄이면서 주상복합건물의 주거 비율을 확대했다.
이중선 익산시의원은 이와 관련해 "빈 상가의 매매·임대 등을 활성화하기 위해 익산시만의 상가 공실 실태조사가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상가 공급량 조절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시와 광주광역시는 도시계획 조례 개정을 통해 주거외 용도 비율을 조정하고 실질적인 상가 공급량을 줄이는 방안을 확립하여 상가 공동화 확산 방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익산시도 다른 지자체의 사례 등을 분석하여 조례 개정 등을 통해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중선 시의원은 또 "빈 상가를 창업공간으로 제공, 창업자들이 초기에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다양한 지원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빈 상가를 창업자들에게 시범 운영 공간으로 제공하여 성공적인 정착까지 이어지는 '빈 상가 활용 창업 인큐베이팅 지원'이나 무인 결제시스템, 스마트 간판 등 '스마트 상점화 지원'도 한 방안이 될 것이란 설명이다.
이중선 시의원은 "상가 공실 문제는 단기적인 대책으로는 해결이 불가능하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도시계획 재정비를 위해 시민과 전문가를 포함한 공실상가 해결방안을 위한 포럼을 구성하여 운영하는 방안도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