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1일 공개된 일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한일 과거사 문제에 대해 "사과는 상대의 다친 마음이 치유될 때까지 진심으로 하는 게 옳다"고 말한 것과 관련, 대통령실은 이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의 배경으로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공물 봉납 문제를 거론해 눈길을 끌었다.
이 대통령은 앞서 이날 공개된 일본 <요미우리신문> 인터뷰에서 과거사 문제와 관련 "사실을 정확하게 직시하고 서로에게 상처가 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면서 "2015년 위안부 합의가 양국 정부 간 공식 합의라는 역대 우리 정부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지만 해당 합의가 국민적 동의를 충분히 받지 못했고, 피해자분들도 이를 받아들이지 못한 부분은 명확한 한계"라고 지적하며 이같이 말했다. (☞관련 기사 : 李대통령 "日 과거사 문제, 다친 마음 치유될 때까지 진심으로 사과해야")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오전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의 이같은 발언과 관련, 위안부 문제 해결이나 일본의 과거사 사과와 관련해 일본 정부에 요구하는 구체적 해법이 있는지 묻는 질문이 나오자 "이번(광복절)에 '과거를 직시하고 미래를 향해 나아간다'는 경축사를 했을 때 이시바 총리가 '반성'이라는 표현을 쓰지 않았나. '반성'과 우리가 요구하는 '사과'는 어느 정도 일맥상통한 면이 있지만 국민적으로 충분하다고 여길 때까지라는 전제가 달려 있고, 그날 한편으로는 야스쿠니 신사에 공물을 헌납하는 일도 있었다"고 지적했다.
강 대변인은 "(이시바 총리의 경우) 직접 가서 참배를 한 다른 각료들과는 다른 모습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반성'이라는 말이 13년 만에 나온 꽤 발전된 단어이기는 했지만 공물이라는 현실에 어느 정도 ('반성'이라는 의미가) 희석돼 전달된 바가 없잖아 있다"며 "반성, 사과라는 표현이 일회적이거나 국민적 합의가 완전히 이뤄지기 전까지는 다 끝났다고 하기는 어렵다는 국민적 정서를 (이 대통령이 <요미우리> 인터뷰에서) 전달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강 대변인은 위안부 합의 해법에 대해서는 "국민적 동의와 합의가 필요하지만 앞으로의 한일관계는 과거의 문제를 덮는 게 아니라 직시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미래지향적 관계로 나아가는 방향이 될 것"이라고만 했다. 이 대통령이 2015년 합의의 경우 국민적 동의를 받지 못했다고 한 것과 관련, 이같은 동의 과정을 어떻게 만들 것인지에 대해 묻자 강 대변인은 "국민적 동의의 구체적 과정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나온 바 없다"고 했다.
오는 23일 한일정상회담에서 김대중-오부치 선언을 잇는 구체적 결과물이 양국 정상 선언이나 합의서 등 형태로 나올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강 대변인은 "양쪽의 경축사 내용을 보면 어느 정도 기대할 수 있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라면서도 "마지막 조율 과정이 남아있기 때문에 합의문이 구체적으로 나올지, 어떤 수준(의 내용)이 담길지는 아직 말씀드리기 어렵다"고 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이날 방한한 빌 게이츠 '게이츠재단' 이사장을 접견하고 글로벌 보건 협력과 AI 미래산업, SMR 등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고 강 대변인은 전했다. 이 대통령은 게이츠 이사장의 한국 방문을 환영하며 "윈도우를 개발했고 이제는 백신 개발이나 친환경 발전시설 개발로 인류를 위한 새로운 공공재 개발에 나서셨는데, 참 존경스럽다. 지구와 지구인 전체를 위한 공공적 활동에 경의를 표한다"고 말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AI 과학기술 등장과 함께 발전과 진보가 있지만 의료서비스 분야 비용 상승이나 저소득 국가 차별이 우려된다"며 "다국가적 지원이 필요한 시기"라고 국제적 보건 협력에 대한 한국의 관심을 촉구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또 SMR이 AI나 반도체 등 첨단산업 분야 전력수요 증가에 대한 효과적 해법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고, 이 대통령은 이에 "한국 정부도 차세대 원자력(핵)발전소 건설에 관심이 많고 소형 원자로를 개발하는 국내 기업이 많다"며 한국 기업의 세계시장 활약이 늘고 있다고 언급했다.
게이츠 이사장은 또 이 대통령의 방미 일정을 언급하며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를 잘 나누라'는 덕담을 전했고, 이 대통령은 "어려운 일이겠지만 슬기롭게 잘 대화하겠다"고 화답했다고 강 대변인은 전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