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일보>가 안규백 신임 국방부 장관의 취임사 중 지난해 12.3 비상계엄과 관련한 문구를 제외하고 기사를 발행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는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은 안 장관에게 이에 대한 문제를 지적하며 심각한 사안이라고 평가했다.
29일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이 대통령은 안규백 장관의 인사말이 끝난 이후 "<국방일보>에서 장관님 취임사를 편집을 해 가지고 주요 핵심 메시지는 빼버렸다고 그러던데 기강을 잘 잡으셔야 될 것 같다. 심각하다"라며 "취임사를 편집해서 내란 언급은 싹 빼버렸다 하더라"라고 말했다.
실제 안 장관은 지난 25일 취임사에서 '계엄'이라는 단어를 3번 언급했다. 그런데 28일 <국방일보>에 게재된 "국민이 신뢰하는 첨단 강군 육성에 진력"이라는 제목의 안 장관 취임 기사에서 '계엄'이라는 단어는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

<국방일보>의 이같은 편집 방향성에 대한 논란은 지난해 윤석열 당시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때부터 불거지기 시작했다. 지난해 12월 13일 <국방일보> 1면과 2면에는 비상계엄 선포를 정당화하는 윤석열 대통령의 대국민담화 내용이 게재됐다.
이를 두고 <국방일보>를 운영하는 국방홍보원장의 의중이 반영된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2023년 5월 윤석열 정부 당시 임명됐던 채일 국방홍보원장 이러한 지시를 했다는 의혹이 나오면서 실제 그는 올해 초 더불어민주당으로부터 '내란 선동' 혐의로 고발을 당하기도 했다.
<국방일보>의 편향성 논란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에도 이어졌다. 지난 21일 <뉴스토마토>는 복수의 군, 국방부 및 정치권 소식통을 인용해 국방홍보원장이 지난 6월 9일 발행된 <국방일보> 1면에 게재 예정이었던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간 한미 정상 통화 기사를 발행 직전에 빼도록 지시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일부 극우 성향 유튜버 등이 이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통화가 '자작극'이라고 주장한 것을 근거로 대통령실의 발표 기사를 빼고 그 자리에 광고를 넣으라고 했다"고 전했다.
실제 <국방일보>는 6월 6일 저녁 이뤄진 이재명-트럼프 간 전화통화를 일요일인 8일 오후 홈페이지에 '한미 정상 첫 전화통화…동맹 발전 위해 긴밀한 협력 공감대'라는 제목의 기사로 발행했는데, 이 기사가 국방일보 1면 지면에는 실리지 않았다.
<국방일보>를 날짜별로 볼 수 있는 홈페이지를 보면 1면에 '한미 정상 첫 전화통화…동맹 발전 위해 긴밀한 협력 공감대'라는 내용이 나와 있으나 실제 PDF파일을 보기 위해 클릭하면 해당 기사는 1면에서 찾아볼 수 없고 대신 하단에 광고가 나와 있다.

이밖에도 채 원장은 지난 1월 간부들에게 윤 대통령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는 언론을 '좌파 성향'으로 규정하고 절독을 지시했고, 이에 따라 홍보원은 2월 <한겨레>와 <경향신문> 등의 구독을 중단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또 매체는 홍보원이 이들 신문을 절독한 이후 새로 구독한 신문이 지난 12.3 비상계엄 때 계엄군이 선거연수원에서 중국인 간첩 99명을 체포했다는 허위 사실을 보도한 <스카이데일리>였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이처럼 국방홍보원장이 본인의 정치적 성향을 과도하게 공적 영역에 투입해 논란이 되면서 관리·감독 권한을 가지고 있는 국방부 대변인이 직무감찰 또는 감사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이와 관련 29일 이경호 부대변인은 국방부 정례브리핑에서 "국방홍보원 감사는 현재 진행 중이다. 언제까지 진행될지는 상황을 지켜봐야 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언급한 위 사항에 대한 문제도 감사 대상에 포함되냐는 질문에 이 부대변인은 "사실관계 확인이 필요한 부분이다. 감사 과정에서 아마 사실관계를 확인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