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완주군이 땅속에 묻힌 문화유산의 체계적 보존에 나선다. 군은 22일 ‘매장유산 유존지역 정보고도화 사업’ 착수보고회를 열고, 삼례·봉동·용진·이서 등 4개 지역에 대한 정밀지표조사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매장유산 유존지역’은 과거 문화유산이 지하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개발 행위 시 문화재 훼손 우려가 제기되는 지역이다. 이번 사업은 해당 지역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구축하고, 훼손 방지와 보존조치 수립을 통해 갈등을 줄이기 위한 목적이다.
총 사업비는 3억 5000만 원(국비 2억 5000만 원, 도비 3000만 원, 군비 7000만 원)이며, 사업 기간은 약 270일이다. 정밀 조사 대상 지역은 개발 압력이 높고 매장유산 분포 가능성이 큰 4개 읍면(총 면적 약 132㎢)으로 선정됐다.
이날 착수보고회에서는 △유존지역 정밀 지표조사 △유존지역 보존 조치 방안 수립 △유존지역도 제작 등 주요 과제가 소개됐으며, 자문위원들과 참석자들의 의견을 반영한 추진 전략도 함께 논의됐다.

완주군은 그동안 2006년 제작된 ‘문화유적분포지도’와 국가유산청의 ‘문화유산 GIS 시스템’을 활용해 문화재 보호 업무를 수행해왔지만, 정보 누락이나 지형도·지적도 간 불일치 등으로 실효성에 한계를 드러냈다.
이에 따라 군은 이번 사업을 직접 주관해 자료의 일관성과 정확도를 높이고, 선사시대부터 한국전쟁 이전까지 다양한 시기의 유적 정보를 반영한 종합적 데이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유희태 완주군수는 “이번 조사는 문화유산을 지키는 동시에, 군민들이 개발 과정에서 겪는 불편을 줄이기 위한 시도”라며 “역사와 개발이 조화를 이루는 문화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사업은 국가유산청이 전국 지자체 가운데 도시화가 진행되며 문화재 분포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지원하는 사업으로, 완주군은 도내에서 해당 사업에 처음 선정됐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