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가 농어촌 마을의 낙후된 주거환경과 돌봄 인프라를 동시에 손보는 생활여건 개선 사업에 나선다.
전북도는 2026년부터 4년간, 총 145억 원을 들여 도내 8개 마을에 정주 여건 개선과 휴먼케어를 아우르는 통합 재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회가 주관한 ‘2026년 농어촌 취약지역 생활여건 개조사업’ 공모를 통해 선정됐다. 전국 150개 마을이 신청한 가운데 85곳이 선정됐으며, 전북에서는 정읍·남원·김제·완주·진안·고창·부안 등 7개 시군의 8개 마을이 포함됐다. 전북도는 이를 통해 국비 103억 원을 포함한 총 145억 원의 사업비를 확보했다.
주요 사업으로는 슬레이트 지붕 철거, 노후주택 개보수, 재래식 화장실 개선, 상하수도 및 소방도로 정비 등 주거환경 개선이 포함된다. 여기에 담장과 축대 보수는 물론, 노인 돌봄과 건강관리 프로그램, 주민 역량 강화 교육 등 복지·공동체 지원도 병행된다.
선정된 마을은 △정읍 칠보면 석탄마을 △남원 대강면 옥전마을 △김제 죽산면 종남마을과 청하면 월현마을 △완주 고산면 소농마을 △진안 정천면 원월평마을 △고창 무장면 시거마을 △부안 부안읍 모산마을 등이다.
전북도는 이번 공모를 위해 도내 10개 시군, 15개 후보지를 발굴해 현장 점검과 자체평가를 거쳐 선정 신청했으며, 최종 선정률은 53%로 전국 평균에 근접한 수준이다.
도는 2015년 이후 이 사업을 통해 총 81개 마을에 1425억 원을 투입해 주거환경과 기반시설을 개선해 왔다. 이 가운데 40개 마을은 사업이 완료됐고, 41곳은 현재 진행 중이다.
민선식 전북도 농생명축산산업국장은 “도내 농촌에는 여전히 생활환경이 열악한 마을들이 많다”며 “앞으로도 생활여건 개선이 필요한 지역을 지속적으로 발굴하고, 사람이 머물 수 있는 농촌을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