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3일 여대야소에 따른 일방적 독주를 우려하는 지적에 대해 "이게 바로 국민의 선택"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한 달을 맞아 청와대 영빈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여대야소는 국민들이 선택한 건데, 그것을 당신들의 문제라고 지적하는 건 옳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다만 이 대통령은 "야당(민주당)이 다수 의석인 상태에서 집권한 게 처음"이라면서 "국민들이 민주당 국회의원 또는 민주당 대통령 후보를 선택 한 것은 (민주당이) 무지하게 좋다는 것도 있겠지만 '저 쪽 말고 이 쪽'이라는 비판적 지지도 있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거듭 "너도 싫지만 덜 싫으니까 한 선택이 있는 것을 잘 안다"면서 "'일을 맡길 만하네'라고 생각을 바꾸도록 만들어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이 대통령은 "내년에 당장 심판이 기다리고 있다"고 지방선거 일정을 언급하며 "우리가 잘못하면 심판 당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내년은 지방선거라서 간접적인 중간 평가지만 3년 후 (총선에선) 본격적인 중간 평가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또 "대통령이 제왕적이라고 하는 것도 약간 어폐가 있다"며 "국회가 여소야대가 돼버리면 할 수 있는 게 크지 않다. 전임 대통령은 되게 힘들어하지 않았나"고 했다.
그러면서 제왕적 대통령제 우려를 불식하기 위한 조치로 감사원 국회 이관, 특별감찰관 임명 등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제도적으로 (제왕적 대통령제를 바꾸려) 어떻게 하는 건 내 몫이 아니다"며 "그러나 나는 감사원 기능을 국회로 지금이라도 넘겨줄 수 있으면 넘겨주고 싶다"고 했다.
아울러 "권력은 견제하는 게 맞다. 권력을 가진 본인의 안위를 위해서라도 견제를 받는 게 좋다"면서 "특별감찰관 임명을 제가 지시해 놨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나를 포함해서 내 가족들, 가까운 사람들이 불행을 당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게 중요하다"며 "비리 가능성을 예방하고 봉쇄하는 게 모두를 위해서 좋겠다고 해서 특별감찰관 임명을 국회에 요청하라고 해놨다"고 했다.
대통령의 배우자와 4촌 이내 친족, 대통령실의 수석비서관급 이상 공무원이 감찰 대상인 특별감찰관은 2016년 이후 공석으로 비어있다.
한편 이 대통령은 취임 후 여론조사에서 60% 안팎의 국정운영 지지율을 기록한 데 대해선 "60%는 그렇게 높은 숫자는 아닌 것 같다"며 "그렇게 높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여전히 30% 이상은 심지어 20%가량은 '아주 못한다' 이렇게 평가한다는데, 오해일 수도 있고 내 부족함일 수도 있고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것"이라고 했다.
이 대통령은 "그분들까지 내가 설득해야 되는 것 아니겠냐"며 "설득을 하든지, 실적과 성과로 그분들의 진짜 삶을 개선해서 '밉지만 괜찮네'라고 생각할 수 있게 만드는 것도 내가 해야 될 일"이라고 했다.
또 "좀 더 낮은 자세로 더 진지하게 국민들의 지지를 획득하기 위해서, 인정을 받기 위해서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