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주요 연기금 5개 기관 중 전북에 본사를 둔 국민연금공단의 해외부동산 투자가 산더미를 이루는 가운데 감사원이 해외 부동산의 공정가치 산정 시 시장가격 고려가 필요하다고 통보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감사원이 지난달에 발표한 '주요 연기금 등의 대체투자 운용 및 관리 실태' 감사보고서에서 밝혀졌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민연금공단과 한국투자공사, 대한지방행정공제회, 과학기술인공제회, 군인공제회 등 5개 기관은 대체투자 자산을 관리·운용하면서 2023년 12월 말 기준 해외 부동산에 총 62조원을 투자했다.

이 중에서 국민연금공단이 5개 기관 중 가장 많은 42조원을 해외 부동산에 투자했으며 대체투자 대비 해외 부동산 투자 비율도 26%로 가장 높았다.
감사원은 "코로나19로 해외 부동산의 공실률이 높아져서 임대료 수익은 급감하는데 기준금리는 큰 폭으로 상승해 이자비용이 증가하는 등 순영업이익이 감소하면서 해외 부동산의 시장가치가 하락하는 상황에서는 해당 부동산의 감정평가액과 시장가치와의 괴리가 커져서 감정평가액이 하락한 시장가치를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따라서 국민연금공단 등은 최근 해외 부동산의 공실률 및 기준금리가 둘 다 상승하면서 해외 부동산의 가치 하락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어 해외 부동산의 시장가치를 점검하는 등 해외 부동산 자산을 관리할 필요가 있다.
감사보고서는 국민연금공단이 투자한 '해외 부동산 프로젝트펀드'를 대상으로 최근 3년간(2021~2023년) 해외 부동산의 감정평가액과 시장가치를 비교한 결과 감정평가액이 최대 시장가치보다 높게 산정된 사례만 2021년 18건에 2022년 25건, 2023년 23건 등 지난 3년 동안 총 66건에 달했다고 밝혔다.
또 각국의 기준금리가 상승하기 시작한 2022년 이후로는 감정평가액과 시장가치 간의 괴리가 더욱 커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실제로 국민연금공단의 감정평가액과 시장가치 금액의 합계를 비교한 결과 2022년의 해외 부동산 감정평가액은 226억5000만 달러였지만 최대 시장가치(213억7000만 달러)와 최소 시장가치(183억8000만 달러)의 범위 밖에 있었다.
이런 상황은 2023년에도 재현됐다.
국민연금공단의 해외 부동산 감정평가액은 169억9000만 달러로 최대 시장가치(151억8000만 달러)와 최소 시장가치(132억7000만 달러)를 벗어나 있었다.
2023년말 감정평가액이 최대 시장가치보다 약 11.9% 더 높게 산정돼 있다는 말이다.
하지만 미국과 유럽의 기준금리가 상승하기 시작한 이후 국민연금공단을 비롯한 5개 기관이 투자한 해외 부동산의 감정평가액은 금리 상승으로 인해 하락한 시장가치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었다는 분석이다.
감사원은 이와 관련해 "해외 부동산의 공실률 및 기준금리가 둘 다 상승하면서 해외 부동산의 시장가치가 하락하는 상황에서 해외 부동산의 시장가치를 점검하는 등 해외 부동산에 대한 자산관리 방안을 마련하라"고 국민연금공단에 통보했다.
국민연금공단은 "감사결과에 이견이 없으며 해외 부동산 자산관리의 중요성이 확대됨에 따라 자산관리에 집중할 수 있는 인력을 보강하겠다"고 답변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