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가 최근 대전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비극적 사건을 계기로 영유아·청소년·가족시설 등의 안전관리 대책을 대폭 강화한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13일 ‘돌봄 시설 안전관리 강화 긴급회의’에 이어 20일 ‘영유아 돌봄 시설 등 안전 강화 대책 회의’를 연달아 개최하며 종합적인 안전 대책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김학홍 경북도 행정부지사를 비롯해 도 교육청, 소방본부, 자치경찰, 어린이집 원장, 대학교수, 학부모 대표 등 민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도는 초등학생들의 귀가 안전을 위해 ‘돌봄 귀가 안전 총괄 대책’을 수립한다. 의용소방대와 자율방범대 등이 하루 6시간, 2인 1조로 상시 순찰을 강화하며, 어린이 이동 안전을 책임진다.
또한, 돌봄 시설에서 아동이 나올 때 보호자에게 자동으로 통보되는 전자 출결 시스템을 신규 시설에 의무화하고, 위치 추적이 가능한 무료 앱 설치도 안내할 예정이다. 돌봄 선생님들의 업무 스트레스 예방과 처우 개선을 위해 산림·원예·웃음치유 등 힐링 프로그램 운영도 추진한다.
경북도내 어린이집 및 청소년·가족시설에는 119와 즉시 연결되는 비상벨 설치를 확대하여 응급 상황 발생 시 신속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경북도교육청은 늘봄학교 학생 귀가 시 학부모 동행 귀가 원칙을 마련하고, 학생 귀가 지점까지 인솔을 강화한다. 또한, 교내 이동 동선 관리를 위해 인력을 2명 이상으로 증원하고, CCTV·화상 인터폰 등 안전시설도 추가 설치할 계획이다.
아울러, 경북도와 교육청은 119 비상벨 지원, 하교 시간대 학교 주변 순찰 강화, 귀가 지원 인력 확충, 학생 귀가 알림 앱 서비스 제공 등 안전 대책을 지속 협업해 추진할 방침이다.
A 가톨릭상지대 유아교육학과 교수는 “최근 사건으로 인해 공공 돌봄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며 “지역사회가 함께 돌봄 시스템을 점검하고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학부모 대표 B 씨는 “아이들이 돌봄 시설과 집, 학원 등을 이동할 때의 안전 확보가 필수적”이라며, “이동 경로 전반에 대한 안전 대책을 마련해줄 것”을 요청했다.
김학홍 행정부지사는 “어린이 안전사고만큼은 절대 발생해서는 안 된다”며 “경북도는 교육청, 소방, 경찰, 민간 시설과 협력해 어린이 안전사고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도록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