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 당시 김현태 특수전사령부 707특수임무단장이 지휘부가 참여한 텔레그램 단체대화방에서 부하들에게 '국회의원들의 국회 본회의장 진입을 막아라'고 명령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김 단장의 헌법재판소 증언과 배치되는 내용이다.
19일 SBS는 비상계엄 당시 국회에 출동한 707 특수임무단 지휘부가 모두 참여한 텔레그램 단체대화방 내용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정황이 확인됐다고 보도했다.
'NEW 707'이라는 이름의 단체대화방에서 김 단장은 작년 12월 3일 밤 11시 46분 "본회의장 막는 게 우선"이라는 지시를 내렸다.
또 "진입 시도 의원 있을 듯"이라며 "문 차단 우선"이라고 지시했다. "진입 차단 막고"라고도 덧붙였다.
'본회의장에 진입을 시도하는 국회의원이 있을 테니 그들의 본회의장 진입을 막는 게 최우선 목표'라는 내용의 지시임을 확인 가능한 대목이다.
이는 김 단장이 지난 6일 윤 대통령 탄핵심판 증인으로 헌재에 출석해 한 증언과 배치된다. 그는 당시 '(의원을 막으라는 게 아니라) 봉쇄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했다.
김 단장은 구체적으로 당시 '증인이 부여받은 '봉쇄' 의미는 국회의원 출입을 막으라는 게 아니라 매뉴얼에 따라 테러리스트 등 적대적 위협 세력이 국회에 진입하지 못하도록 방어하라는 개념이냐'는 윤 대통령 측 질문에 "네, 맞습니다"라고 답했다.
김 단장은 또 헌재에서 '150명이 넘으면 안 된다'는 곽종근 전 특수전사령관 지시를 받았으나, '150명'이 국회의원을 뜻하는 것인지는 계엄 사태가 끝난 후 언론 보도를 보고서야 알았다고 증언했다.
계엄 당일 '의원 본회의장 진입 차단'을 명확하게 지시해놓고는 국회 본회의 의결정족수를 의미하는 150명의 의미를 몰랐다고 김 단장이 헌재에서 주장한 셈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