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가 지역 및 대학의 동반성장을 위한 본격적인 협력에 나섰다.
18일 전북특별자치도는 '25년도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시행계획을 심의·의결하고, 이를 위한 도지사와 대학총장 간 간담회를 개최했다.
지난해 12월 구성된 전북 라이즈(RISE) 위원회는 이번에 2025년도 라이즈의 구체적인 실행을 위한 재정 투자 및 공모계획 등을 담은 시행계획을 심의·의결했다.
이에 따라 전북자치도는 전북테크노파크 JB지산학협력단을 통해 840억 원 규모의 라이즈 공모를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부터 본격 시행되는 라이즈는 대학이 지역발전의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부의 중점 사업이다.
전북자치도는 이를 통해 지역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고, 인재양성에서 취업 및 창업, 정주에 이르는 지속 가능한 지역발전 생태계를 구축할 목표를 가지고 있다.
라이즈 시행계획을 바탕으로 대학들은 지역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 및 혁신적 교육을 강화하고, 지역은 대학이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는 방향으로 협력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지역대학과 지자체 간의 협력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와 도내 대학 총장들은 심의의결 이후 간담회를 통해 지역과 대학의 상생 방안을 논의했다.
전북대(2023년)와 원광대(2024년)에 이어 올해도 글로컬대학으로 선정될 수 있도록 차별화된 혁신안과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이 제시됐다. 지역 대학 간 협력 모델 구축에 대한 논의도 활발히 이루어졌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대학이 지역 문제 해결의 중심이 되어야 하며, 지역은 대학의 경쟁력을 높이는 역할을 해야 한다"며 "전북의 미래를 위해 대학과 지자체가 긴밀하게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