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갑질119가 온라인노조를 만든 이유

[온라인노조로 초대합니다] ① 누구나 쉽게 가입할 수 있는 업종 기반 노조를 꿈꾸며

윤석열 정권에 맞서 외롭게 싸우던 노동자들에게 '응원봉' 시민이 손을 내밀었다. 여의도, 남태령, 한남동 전투를 거치며 급진화한 20~30대 시민이 한화오션 조선하청 농성장, 옵티칼 고공농성 희망버스, 세종호텔 정리해고 고공농성장으로 모여들었다. 노조 혐오의 자리에 연대의 깃발이 솟아 올랐다.

2016~2017년 박근혜 탄핵 촛불 이후 노조가 많이 만들어졌다. 공공기관 비정규직을 필두로 노조 조합원이 급증했고, 젊은 조합원이 대폭 늘었다. 2024~2025년 윤석열 탄핵 과정에서도 노조에 대한 왜곡을, 두려움을 넘어선 노동자들이 노조에 합류할 것이다.

2017년 11월 1일 출범한 직장갑질119는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제·개정을 필두로 공휴일 유급휴일, 임금명세서 의무화, 상병수당 등 법·제도 개선을 이끌었다. 선정적 장기자랑과 체육행사 강요 등을 알려 한림대성심병원을 비롯해 여러 노조를 만들었다.

하지만 대다수 중소기업과 비정규직 노동자는 기업별 노조가 근간인 우리나라에서 노조를 만들기 어려웠다. 2023년 말 기준 한국의 노조 가입률은 13%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하위권이며 공공부문(71.6%), 300명 이상 사업장(36.8%)에 비해 100인 미만 사업장(30~99명 1.3%, 30명 미만 0.1%)은 사실상 무노조 상태다. 개인이 가입할 수 있는 업종 노조가 일부 있지만, 극소수에 지나지 않는다.

직장갑질119는 노조 밖 직장인들을 상담하면서 임금, 야근, 괴롭힘, 해고, 비정규직 등 직장갑질 문제는 개인이 아니라 집단적으로 대응할 때 유리하고, 헌법과 법률이 보장한 노동조합을 통해 개선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는 판단에 따라 업종·직종별 노조를 준비했다. 제보가 많은 사회복지시설, 병의원, 강사, IT노동자, 중소금융기관(새마을금고, 농협, 수협, 신협) 노동자들을 만났다.

기업 노조(지회·분회)를 만들기 어려운 중소기업 직장인들이 온라인으로 쉽게 가입해 익명으로 활동할 수 있는 노조, 회사가 아닌 업종과 직종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노조, 업종별·직종별 사용자단체와 정부 등을 상대로 교섭해 전체 직장인의 처우개선과 제도개선을 추진하는 노조를 고민했다.

지난해 11월 3일 100여 명의 노동자가 온라인(zoom)으로 모여 '직장갑질119 온라인노조'를 출범시켰다. 직장인, 구직자, 프리랜서 등 누구나 네이버 카페(cafe.naver.com/119union)에 익명으로 가입하고 조합비(5000원 이상)를 내면 조합원이 된다. 노동상담, 노동교육, 노동소식, 노동정보, 법률정보, 웹툰 등 다양한 콘텐츠를 볼 수 있다. 무엇보다 조합원들은 이메일·전화·만남 등 24시간 안에 빠르고 깊이 있는 상담을 받을 수 있고, 합리적인 비용으로 사건을 위임할 수 있다. 온라인에서 서로의 일상과 직장생활의 애환을 공유하고, 따뜻한 위로를 나눈다.

온라인노조이지만 오프라인 활동도 병행한다. 중요한 상담이나 회의, 기자회견, 항의방문, 교섭 등은 오프라인에서 진행한다. 조합원이 다 같이 하는 각종 캠페인 활동은 온라인을 중심으로 하되, 각자가 오프라인에서도 함께하고 실천한다. 윤석열 탄핵 집회에는 직장갑질119와 온라인노조가 같이 깃발을 만들고 거리에서 모였다.

온라인노조는 출범과 동시에 노조 산하에 업종(직종) 모임으로 사회복지지부와 한국어교원지부를 만들었다. 종교·기부 강요, 사적용무지시, 취업방해 등 갑질이 심각한 복지시설, 근로계약이 아닌 프리랜서 계약과 15시간 미만 초단기계약으로 노동자로 인정받지 못하는 한국어교원들이 50명 이상 뭉쳤다. 2월 현재 온라인노조 조합원은 230명을 넘었고, 네이버 카페 회원은 640명이다. 직장갑질119에 제보가 많은 병의원, IT, 강사·트레이너, 중소금융기관, 방송 비정규직 등 업종별로 직장인들이 일정 규모 이상 모이면 추가로 업종별 지부를 만들 예정이다.

온라인노조는 새로운 교섭을 꿈꾸고 있다. 사회복지시설에서 장기자랑과 종교·기부 강요를 없애는 협약을 맺고, 한국어교원들이 4대 보험과 근로계약서를 체결하는 합의를 한다면 우리 삶이 조금은 달라지지 않을까?

▲ 직장갑질119 온라인노조 5문 5답 중 일부. ⓒ직장갑질119 온라인 노조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