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수집 논란을 빚은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의 국내 서비스가 잠정 중단됐다.
17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는 최장혁 부위원장 주재로 언론 브리핑을 열어 "딥시크 앱의 국내 서비스가 지난 15일 오후 6시부터 잠정 중단됐으며,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개선·보완이 이뤄진 후 서비스가 재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개인정보위는 딥시크의 서비스 출시 이후인 지난달 31일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처리 방식에 관한 공식 질의서를 보냈고, 서비스에 대한 자체 분석에 착수했다.
개인정보위는 "그 결과 국내외 언론 등에서 지적된 제3사업자와 통신 기능, 개인정보 처리방침상 미흡한 부분이 있음을 일부 확인했다"고 밝혔다.
딥시크는 이에 지난주 국내 대리인으로 법무법인 태평양을 지정하고 "글로벌 서비스 출시 과정에서 국내 보호법에 대한 고려가 일부 소홀했으며, 앞으로 개인정보위에 적극 협력하겠다"는 의사를 지난 14일 개인정보위에 전했다.
이번 딥시크 앱 잠정 중단은 국내 모든 앱 마켓에서 신규 앱 다운로드를 제한하는 조치다. 따라서 기존 이용자는 그대로 사용이 가능하다. 다만 기존 이용자는 딥시크 입력창에 개인정보를 입력하지 않는 등 신중하게 이용해달라고 개인정보위는 당부했다.
남석 개인정보위 조사조정국장은 "기존 이용자의 경우 사업자 측에서 특별히 취할 수 있는 조치가 없다"며 "만약 필요하다면 기존 다운로드 받은 분은 자체적으로 앱을 삭제해 달라"고 요청했다.
딥시크 서비스는 한국뿐 아니라 이탈리아에서도 중단됐다. 개인정보위는 다만 딥시크가 자발적으로 서비스를 중단한 사례는 아직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개인정보위는 "서비스 중단 기간 동안 딥시크 서비스의 개인 보호 처리 실태를 면밀히 점검함으로써 보호법이 충실히 준수되도록 개선하고, 우리 국민들의 개인정보 보호에 우려가 해소되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딥시크 서비스가 국내 보호법에서 요구하는 요건을 갖추도록 적극 개선을 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개인정보위는 이번 조치에 관한 최종결과 발표 때 "AI 대중화 시대를 맞아 AI 활용과 개인정보 보호가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개인정보보호법상 AI 특례 신설과 해외사업자 대상 집행력 강화 방향 법 개정을 추진할 것"이라고 했다.
조사 기한은 기존보다는 단축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남석 국장은 "지난해 대규모 언어 모델(LLM) 서비스 6개사를 대상으로 실태점검할 당시 5개월 정도가 소요됐다"며 "이번에는 1개 사업자고, 그동안의 노하우가 축적돼있어서 당시보다 훨씬 빨리 진행될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