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나홀로 질주' 여전…3분기 성장률 4.9%

시장 예상 웃돈 엽기적 상승세…"소비 앞으로도 견조할 것"

미국의 '나홀로 성장세'가 꺾일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3분기 미국 경제 성장률이 4.9%에 달했다. 개도국에서나 볼 법한 엽기적인 상승세다.

26일(현지시간) 미국 상무부는 3분기 미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속보치)이 연율 4.9%라고 밝혔다.

2분기 성장률(2.1%)을 두 배가량 웃돌았다. <월스트리트저널>의 전문가 전망 집계치(4.7%)와 <파이낸셜타임스>의 전망치(4.3%)도 뛰어넘었다.

이번 성장률은 2021년 4분기(7.0%) 이후 가장 높다. 당시는 코로나19 팬데믹 기저효과가 발생했다.

아울러 미국의 이번 성장률은 한국의 연간성장률 전망치(1.4%)를 3배 넘게 웃돈다.

여름 휴가철 소비 활성화가 이번 성장세를 이끌었다는 분석이 나왔다. 상무부에 따르면 미국의 소비자 지출은 2분기 0.8%에서 3분기 4%(연율)로 뛰어올랐다. 소비 지출의 3분기 성장률 기여도는 2.69%포인트에 달했다. 성장률의 절반가량을 소비가 책임졌다는 소리다.

톱스타 테일러 스위프트와 비욘세의 콘서트, 영화 <바비>의 흥행과 관련 음반 판매 등이 올 여름의 주요 이슈였다고 현지 매체는 설명했다.

민간투자는 8.4% 증가했고 정부지출은 4.6% 증가했다.

에릭 위노그라드(Eric Winograd) 얼라이언스번스타인(AllianceBernstein) 수석이코노미스트는 <파이낸셜타임스>와 인터뷰에서 "노동 시장의 강력한 지원을 받은 소비 회복이 (경제 성장의) 근본 원인"이라며 "소비가 강세를 유지하는 한 미국 경제 전체가 강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지금쯤 침체로 돌아서리라는 전문가들의 예상이 일제히 빗나갔으나, 앞으로는 미국 경제가 침체기에 들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침체 예상 시기가 3분기에서 4분기로 늦춰진 셈이다.

톰 사이먼스 제프리즈 이코노미스트는 <파이낸셜타임스>에 "이제 학자금 대출 상환이 재개되는 상황에서도 이 같은 성장세가 이어진다면 충격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의 학자금 대출 상환 유예는 이달로 종료됐다.

재닛 옐런 미 재무부 장관은 블룸버그 TV와 인터뷰에서 이번 성장률을 두고 "이는 좋고 강력한 수치로, 경제가 매우 원활히 돌아감을 보여준다"면서도 "이번 발표는 단지 4분의 1에 관한 수치일 뿐이며, 앞으로도 이런 속도의 성장세가 이어질 것이라고는 기대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제프리 로치 LPL파이낸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CNN과 인터뷰에서 "앞으로 미국 경제는 채권 수익률 급등, 학자금 대출 상환 재개 등의 역풍을 직면한 만큼 강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며 "이런 추세가 향후 분기에도 지속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해 우리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미국 경제의 침체 전환은 월가의 기대이다. 미국 경제가 장기간 이어진 고금리 정책에도 불구하고 견조하다면, 결국 미 연방준비은행(Fed, 연은)은 기준금리를 더 끌어올려야 한다. 미국 경제 성장세가 꺾여야 멈출 줄 모르는 물가 상승 행진에도 제동을 걸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미국 경제가 침체기에 들어간다면, 연은으로서도 고금리 정책을 완화하고 다시 금리를 낮추는 방향으로 전환을 고민하게 된다. 금리가 낮아져야 투자가 활성화하는 만큼, 월가는 미국 경제 침체→저금리 전환을 기대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이 같은 기대를 두고 "미국의 성장률 데이터는 다시금 금리가 장기간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기대를 뒷받침한다"며 "강력한 헤드라인 GDP 성장률 수치는 소비자와 기업 심리에도 영향을 미치고, 이는 결국 (소비자) 행동과 인플레이션 기대에도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월가의 기대보다 연은의 고금리 정책이 길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소피아 드로소스(Sophia Drossos) 포인트72자산운용(Point72 Asset Management) 이코노미스트는 <파이낸셜타임스>와 인터뷰에서 "미국의 소비 속도는 아마도 완만해지겠으나 고용 시장이 건재한 동안 인플레이션율 감소가 이어진다면 소비는 여전히 견고한 기반을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소식에 뉴욕 증시는 민감하게 반응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251.63포인트(0.76%) 하락한 3만2784.30으로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49.54포인트(1.18%) 떨어진 4137.23을 기록했고, 나스닥지수는 225.62포인트(1.76%) 하락한 1만2595.61로 장을 마감했다.

▲26일(미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트레이더들이 전광판을 보고 있다. ⓒReuters=연합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이대희

독자 여러분의 제보는 소중합니다. eday@pressian.com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