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고창 반암리에서 우리나라 가장 이른 시기의 '초기청자가마' 확인

'벽돌가마'와 '진흙가마' 중첩되는 아파트형 가마터…국내 초기청자 도입과 전개과정 밝힐 열쇠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에서 확인된 가마터와 유물 ⓒ고창군

전북 고창군 반암리에서 우리나라 청자의 도입과 전개과정을 엿볼 수 있는 초기청자 가마터가 확인됐다.

14일 고창군에 따르면 반암리 청자요지는 지난해 문화재청 긴급발굴조사 지원사업을 통해 벽돌가마 1기와 진흙가마 3기, 퇴적구릉, 건물지 등이 일부 확인됐다.

이에 올해 (재)조선문화유산연구원(원장 이택구)에서 가마터의 성격과 범위 등을 규명하기 위해 발굴조사를 추진해 조사범위 내에서 벽돌가마(전축요) 1기, 진흙가마(토축요) 4기, 건물지 2동 등을 확인했다.

벽돌가마는 지난해 문화재청 긴급발굴조사를 통해 후대의 진흙가마와 중복돼 단면 상에서 일부 흔적이 확인됐으나, 올해 발굴조사에서는 조사범위 가장 윗부분에서 가마의 소성부(燒成部, 그릇을 두는 곳)와 연도부(燒成部, 연기가 빠져나가는 곳)가 나타났다.

노출된 벽돌가마는 길이 7.8m, 너비 2.7m, 바닥경사도 10° 내외로, 가마 축조는 구지표층을 사선으로 굴광한 다음 벽돌을 눕혀쌓기 했다.

가마 축조에 사용된 벽돌은 잔존 7단 정도이고, 3회 정도 개축해 운영했음이 밝혀졌다.

진흙가마(2호~5호)는 총 4기가 확인됐다.

2호 가마는 3~5호 가마와 중첩돼 있어 그 존재만 파악됐고, 4호 가마가 폐기된 이후 5호 가마가 만들어졌음이 확인됐다.

진흙가마는 부분적으로 결실됐으나 규모와 구조에서 동일한 양상이었다.

길이 10~12m, 너비 1.5~1.9m 정도이며, 화구(火口)는 석재를 4~5매 쌓은 후 양쪽에 기다란 석재를 세워서 축조했다.

불턱이 없어 연소부와 소성부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으나 연소부에서 폭이 줄어들다가 소성부는 약간 넓어지는 양상이다.

건물지는 2기가 확인됐는데, 조사구역 외곽까지 확장된다.

이중 1호 건물지는 3호 가마에서 경사면 아래쪽으로 1.7m 정도 떨어져 자리하며 기단석렬과 적심석, 초석(礎石, 주춧돌) 등이 일부 노출됐다.

건물의 규모는 정면 3칸으로 추정되며, 주간거리는 2.7m 내외이다.

유물은 청자, 갑발, 도기, 기와 파편 등이 출토됐다.

청자는 해무리굽 완이 다수를 차지하며, 독립문형 청자와 화판형 접시, 잔, 주자, 호 등도 소량 확인됐다.

갑발(匣鉢, 불길과 재 등이 청자에 직접 닿지 않도록 청자 위에 씌우기 위해 점토로 만든 그릇)은 발형과 복발형, 원통형 등이 있으며, 갑발 받침과 뚜껑도 확인됐다.

특히 갑발 바닥과 옆면에서는 특수한 형태의 문양(부호)이 확인돼 주목된다.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고창에 초기청자를 생산하는 벽돌가마의 명확한 존재와 축조기법이 밝혀졌다.

벽돌가마는 고려 수도인 개경(開京) 중심의 중부지역에서 주로 확인되나, 최근 진안 도통리에서도 조사되어 사적으로 지정됐다.

따라서 이번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에서 잔존상태가 양호한 벽돌가마가 명확히 확인됨에 따라 사적 등 문화재 지정 가치가 높다.

특히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에서는 벽돌가마 이후에 축조되는 진흙가마도 4기가 조사돼 우리나라 청자의 도입과 전개 과정을 한눈에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협소한 조사범위 내 5기의 초기청자 가마가 중첩돼 축조된 양상은 '아파트형 가마터'라고 말할 수 있으며, 아직 우리나라에서 보고된 거의 사례가 없다.

또 기존 긴급발굴조사를 통해 반암리 청자요지에 적어도 2기 이상의 진흙가마가 더 축조된 양상이 확인됐기에 고창 반암리 청자요지가 초기청자 생산의 메카로 불리기에 충분하다.

이에 더해 구릉의 하단부에서 대형 건물지가 확인됐다.

특히 1호 건물지는 확인된 길이만 31m에 달하며, 이는 초기청자 생산과 관련된 공방 또는 감독관리시설로 판단된다.

학술자문회의에 참석한 이종민 충북대교수(문화재청 문화재위원)는 "초기청자가마로써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하고 벽돌가마에서 진흙가마로의 변화양상이 명확히 확인되는 등 우리나라에서 매우 보기드문 유적이다"며 "10세기 후반경부터 오랫동안 운영됐고 대형 건물지까지 확인돼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우수해 추가 조사 등을 통해 사적 지정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유기상 고창군수는 "반암리 청자요지 일원은 고창 용계리 청자요지(사적), 고창 분청사기 요지(사적), 고창 용산리 분청사기요지(도기념물) 등 다수의 가마터가 밀집분포하는 등 우리나라 도자 문화의 중심지로 인정받고 있다"며 "특히 고창 반암리 청자가마터를 통해 초기청자의 발생과 변화과정, 생산공정, 관리체계까지 밝힐 수 있는 중요 자료로 평가되므로 앞으로의 조사성과가 더욱 기대되며, 또한 유적의 보존관리와 함께 국가사적 지정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박용관

전북취재본부 박용관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