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악관은 28일(미국 현지 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총리가 이날 전화 통화를 가졌다면서 "두 정상은 북한에 대한 최근의 진전에 대해 논의하고, 예정된 북미 정상회담 이전에 다시 만나 긴밀한 조율을 갖기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특히 백악관은 미일 정상의 통화 내용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북한의 핵·화학·생물학 무기와 탄도 미사일 프로그램의 완전하고 영구적인 해체(complete and permanent dismantlement)가 공통의 긴밀한 관심사임을 명확히 했다"고 밝혀 눈길을 끌었다.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미일 정상회담이 다음달 8~9일 캐나다 퀘벡에서 열리는 주요7개국(G7) 정상회의의 부수 행사 격으로 열릴 수도 있지만, 아베 총리가 캐나다로 가는 길에 미국 워싱턴D.C.를 들르는 방안도 가능하다는 일본 관리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북한과 미국 양자 간의 주된 관심사는 북한의 핵무기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 미 본토까지 닿는 핵무기 운반 수단인 반면, 일본은 핵무기 외에도 화학무기와 생물학 무기, 중거리 탄도미사일(MRBM·IRBM) 등 일본 자국의 안보에 위협이 되는 요소를 중요한 문제로 제기해 왔다.
WP는 이에 대해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간에서 중재역을 하면서, 아베 총리는 그 결과 일본의 안보 이익이 미해결 상태로 남겨지지 않을지 우려해 왔다"고 지적했다.
WP는 지난달 중순 미국 플로리다주 마라라고 리조트에서 이뤄진 미일 정상회담 당시 아베 총리가 '북한의 중·단거리 미사일도 김정은 위원장과의 대화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촉구했고, 일본인 납북자 문제도 제기해줄 것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요청한 바 있다고 언급했다.
한국의 외교안보 전문가들은 북미 정상회담에 일본이 끼어드는 상황에 대해, 비핵화 해법을 복잡하게 할 뿐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조성렬 국가안보전략연구연 수석연구위원은 지난 3일 국회 토론회에서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이 성공적 결실을 거두기 위해선 일본·중국 변수의 원만한 관리가 필요하다"며 "일본의 안보 우려는 충분히 이해하나, 일본 정부의 요구를 북미회담 의제로 삼을 경우 비핵화 프로세스가 복잡하게 돼 문제 해결이 지연될 위험성이 있다"고 비판했었다. (☞관련 기사 : "한반도 비핵지대화 통해 동북아 다자안보체제로")
이삼성 한림대 교수도 <프레시안> 인터뷰에서 "북한에게는 MRBM과 IRBM이 미일동맹에 대한 자위(自衛)의 마지노선으로 간주될 것"이라며 "일본은 미국에 대해 MRBM과 IRBM의 폐기를 종용하겠지만 미국이 이를 들어줄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관련 기사 : [인터뷰] 북한 내부 엘리트 vs. 미국 내부 강경파, 그 내막은?)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