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항만공사(BPA)는 21일 '항만연관산업 육성 방안 최종 발표회'를 열고 부산항 항만연관산업(선용품, 항만용역업, 급유업, 컨 수리업, 예·도선, 선박수리업)의 부가가치 비중을 현재 22%에서 2025년까지 30%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부산항은 그동안 금융위기와 해운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2017년도에 컨테이너 2000만TEU를 초과 달성하며 세계 6위 컨테이너 처리 항만으로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항만에서 발생하는 수입은 해운선사 및 부두운영사에 편중되고 항만연관 산업계로 직접 연결되지 못했다.
또한 정부·지자체와 BPA의 정책 우선순위도 선사, 운영사 등 항만생태계의 최상위계층에 집중됐고 부산항의 부가가치 중 항만연관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체의 22.1%로 싱가포르 및 로테르담 등 경쟁 항만 대비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이에 BPA에서는 올해 국내 항만 및 항만공사 최초로 부산항 해운항만산업 실태 전수조사를 통해 산업의 현황 및 실태 파악과 통계조사를 실시했다.
'2017 부산항 해운항만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부산항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업체는 총 4550개로서 6만3280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이들 업계가 부산항에서 발생하는 매출액은 총 13조 3872억 원으로 화물운송업(해운선사)이 차지하는 비중이 24.5%로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함께 BPA는 지난 7월부터는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및 부산시와 산·학·연 전문가가 참여한 워킹그룹을 구성해 관련 업종별 현황과 애로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제도개선, 정책지원 등 장·단기 개선과제를 도출한 후 의견수렴을 거쳐 최종 추진방안을 마련했다.
항만연관산업 육성방안 워킹그룹 연구결과에 의하면 관련 업종 대부분이 무한 경쟁체제로 수익률이 10∼20년 이전 수준에 머물러있고 근로자들도 최저임금 수준에 있으며 업계 스스로의 협상력 및 자생력도 취약해 정부 및 지자체와 BPA의 정책적인 지원이 절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에 발표한 육성방안은 2018년 내에 해결할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영향 분석과 부산시 선용품 자체 브랜드 개발, 효율적인 예·도선 지원 등 총 5개의 단기과제와 항만연관산업 요율 및 임대료 기준 마련, 항만운송 사업법 상 갱신제 전환 등 10개의 중·장기 과제를 도출했으며 과제별로 정부·지자체·BPA 및 업·단체가 각자의 역할을 분담하여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BPA는 2020년까지 항만연관산업 협의체를 운영하며 매년 해운항만산업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육성방안의 추진과제에 대하여 6개월마다 진척사항을 점검하고 보완 발전시키는 등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할 예정이다.
우예종 부산항만공사 사장은 "올해 부산항이 2000만TEU의 물동량을 달성했지만 항만연관산업의 어려움은 날로 심화되고 있다"며 "업체들의 어려움과 애로사항이 이번 기회를 통해 부산항이 고부가가치 선진항만으로 거듭나길 바란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