못생겨도 건강한 음식을 먹자

[김형찬의 동네 한의학] 식사와 농업 그리고 건강

주말 오후, 오랜만에 아이와 함께 마을 농장에 갔습니다. 봄과 여름에는 날마다 자라는 상추며 쑥갓, 아욱을 뜯고, 방울토마토와 고추를 따고, 밭에 물을 주러 거의 매일 가다시피 했습니다. 하지만 작물들이 옥수수와 콩으로 정리되고 해갈이 된 이후로는 드문드문 가곤 했지요.

그 날은 옥수수와 콩을 따러 갔습니다. 아~! 그런데, 너무 무심했던 탓인지 총 15개 정도의 수확량에서 반은 이미 쇠어 버렸습니다. 그래도 늦게 심어서 먹을 수 있을까 반신반의했던 것치고는 훌륭한 수확량이었습니다. 아이는 난생 처음 옥수수를 따는 경험을 했습니다. 조금은 아쉬웠지만, 아이와 함께 즐거운 한 때를 보낼 수 있었습니다. 수확을 마치고는 밭을 정리했습니다. 손이 안 가 길게 자란 풀을 뽑고, 옥수숫대와 마른 고춧대와 토마토 줄기를 뽑아 정리하고, 삽으로 흙을 뒤집어엎고 잘게 부수어 잘 고르는 작업을 했습니다. 조금 늦었지만, 올해의 마지막 농사로 배추와 총각무를 심을 생각입니다.

집에 돌아오자마자 물에 소금만 조금 넣어 옥수수를 삶고, 나중에 밥 해먹을 때 넣어 먹을 요량으로 쇤 옥수수는 알맹이를 따서 냉동실에 넣어 두었습니다. 한참 지나자 집안에 구수한 냄새가 퍼지기 시작합니다. 잘 익은 옥수수를 꺼내 쌓아 놓고 보니, 모양도 크기도 제각각이지만 왠지 정겹습니다. 세 식구가 "뜨거워!" 연발하며 먹었습니다. 이 옥수수, 정말 맛있습니다. 소금만 넣었는데도 감미료의 단맛과 격이 다른 달콤한 맛이 납니다.

언젠가 옥수수 농사를 짓는 페이스북 친구가 "옥수수는 딴 그 자리에서 삶아 먹어야 제맛인데, 도시 사람들은 그 맛을 죽어도 모를 것"이라고 했던 게 떠올랐습니다. 그리고 앉은 자리에서 3개째 옥수수를 먹으면서 '우리를 건강하게 해주는 좋은 음식이란 사람이 맛을 낸 것이 아니라, 음식 재료가 품은 자연의 맛을 잘 끌어낸 것'이란 생각을 했지요.

""식사는 농업 행위이다." 웬델 베리가 한 유명한 말이다. 우리가 음식의 수동적인 소비자일 뿐 아니라, 음식 시스템의 공동 창조자라는 뜻이다. 우리가 어떤 음식을 사느냐에 따라 그 돈은 양과 편리와 "가격"을 추구하는 식품 산업으로 흘러들어 갈 수도 있고 질과 건강 같은 가치를 중심으로 조직된 음식 사슬의 밑거름이 될 수도 있다. 그렇다. 이런 식으로 음식을 사는 일에는 더 많은 돈과 수고가 든다. 하지만 이런 지출을 단순한 소비가 아닌 투표 -넓은 의미에서 건강을 위한 투표- 로 생각하기 시작하면, 음식에 돈을 아끼는 일이 현명한 처사가 결코 아님을 깨닫게 될 것이다." (<마이클 폴란의 행복한 밥상>(마이클 폴란 지음, 조윤정 옮김, 다른세상 펴냄))

넘치는 건강 정보의 영향인지는 몰라도, 많은 분이 특별한 무언가를 먹으면 병을 치료하고 좋은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가 늘 먹는 식사입니다. 그리고 음식 재료는 그 식사의 질을 결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재료가 건강하지 않으면, 입이 즐거울 수 있어도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없습니다. 병든 재료로 만들어진 음식을 먹다 보면 내 몸과 마음 또한 병드는 것은 자명한 이치입니다.

이렇게 생긴 병을 치료와 약으로 회복시킬 수는 있겠지요. 하지만 평생 약에 의존해서 살 수는 없으니 병의 예방과 치료, 그리고 좋은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보다 본질적이고 기초가 되는 부분을 고쳐나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 때 건강한 음식을 먹는 행위가 매우 중요합니다. 내 몸을 만들고, 신체 기능을 유지하고, 정신 작용에 영향을 주는 것이 바로 내가 먹은 음식이니까요.

앞서 인용한 책에서는 제대로 된 음식을 먹는 방법의 하나로 농산물 직판장이나 CSA(공동체 지원 농업) 상자를 소개합니다. 우리나라에도 그 지역에서 실명제로 생산된 농산물을 파는 로컬푸드 판매장이나 여러 생활협동조합이 있습니다. 조금 불편할 수 있고 조금 더 큰 비용을 지출할 수도 있지만, 그곳에서는 조금 더 건강한 음식 재료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곳을 이용한다면 내 가족의 건강에 도움이 되는 건강하고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어서 좋고, 더욱 많은 농부들을 작지만 단단하고 믿을 수 있는 음식 사슬로 이끌 수 있어서 좋습니다. 그러다 보면 지금은 유별나 보이는 선택들이 당연하게 여겨지는 날이 올 것입니다. 그렇게 되면 사람은 물론 환경 또한 건강을 회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최근의 소식을 들어보면 이런 변화가 금방 일어날 것 같지는 않습니다. 지인 중에 오랜 외국 생활을 접고 귀국해 농부가 된 분이 있습니다. 그런데 올해 이 분과 의기투합한 농부들이 영농조합을 만들어 시도한 친환경 파농사가 실패했다고 합니다. 납품한 파가 '모양이 좋지 않다'는 학교 영양사의 판단으로 인해 반품되었기 때문이랍니다. 그 영양사가 모양보다 파의 품질과 자란 환경을 좀 더 중요하게 생각했더라면 하는 안타까움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더 근본적인 요인은 그분께 농사의 경험이 없고, 이 파를 키운 사람과의 교감도 없었다는 점에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영양사가 자신을 농부와 아이들을 이어주는 음식 사슬의 일부로 인식했다면 결과가 달라졌겠지요. 물론 이 한 가지 일로 모든 상황을 판단할 수도, 해서도 안 될 겁니다. 이와 반대되는 긍정적 소식도 많이 있으니까요. 다만 이 일이 먹거리의 건강은 단순히 시장에 좋은 상품을 공급하는 데 달린 게 아니라, 관계(사람과 자연, 생산자와 소비자, 음식과 건강)의 문제까지 잘 풀어낼 때 보장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사람의 건강과 음식의 건강은 떼어 놓을 수 없습니다. 관심을 두고 주변을 둘러보면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일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그 작은 행동이 내 식탁에 오르는 음식을 건강하게 하고, 내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할 수 있는 시발점이 될 것입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김형찬

생각과 삶이 바뀌면 건강도 변화한다는 신념으로 진료실을 찾아온 사람들을 만나고 있다. <텃밭 속에 숨은 약초>, <내 몸과 친해지는 생활 한의학>, <50 60 70 한의학> 등의 책을 세상에 내놓았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