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캠 종사자들인가…캄보디아 간 한국인, 매년 3천명가량 한국 안 돌아왔다

캄보디아 스캠(사기)에 동원된 한국인이 정부 추계치보다 훨씬 많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통계가 나왔다.

20일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실이 법무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13명이던 캄보디아 출국자와 한국 입국자 수 차이는 2022년 3209명, 2023년 2662명, 2024년 3248명으로 폭증했다. 2022년부터 매년 2000~3000명 수준으로 급증했다.

올해도 8월까지 캄보디아로 간 출국자 중 864명이 귀국하지 않은 것으로 추정됐다.

한국에서 캄보디아로 간 한국인은 2021년 5476명, 2022년 3만5606명, 2023년 8만4378명, 지난해 10만820명으로 늘어났다. 같은 기간 캄보디아에서 입국한 한국인은 각각 5363명→3만2397명→8만1716명→9만7572명이다.

올해의 경우 1~8월 6만7609명이 캄보디아로 향했고 6만6745명만 귀국했다.

귀국하지 않은 이들의 상당수가 캄보디아 현지 스캠 산업에 종사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를 고려하면 정부가 캄보디아 스캠 산업 종사자로 추정한 한국인(1000여 명)보다 3배가량 많은 3000여 명이 실제 관련 산업에 종사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더해 태국, 베트남 등 인접국을 통해 캄보디아로 들어가 돌아오지 않은 경우도 적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캄보디아 이민청이 집계한 캄보디아 입국 한국인 수는 2021년 6074명, 2022년 6만4040명, 2023년 17만171명, 2024년 19만2305명, 2025년 1월~7월 10만6686명을 각각 기록했다.

2022~2024년의 경우 한국 통계보다 2배가량 많다. 제3국을 통해 캄보디아로 입국한 한국인이 많음을 보여주는 지표다.

현지 사정에 정통한 이들 사이에서도 캄보디아 '웬치'(범죄단지)나 소규모 사무실에서 스캠 산업에 종사하는 한국인이 정부가 추정한 1000명보다 훨씬 많을 것이라는 의견이 적지 않게 나온다.

박찬대 의원은 "현지 증언대로라면 아직 드러나지 않은 피해자들이 많이 있는 것 같다"며 "개별 출입국 기록과 영사·경찰 자료를 정부 차원에서 전면 대조해 미복귀자에 대한 재점검이 꼭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납치·감금 등 조직범죄피해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정부가 범죄조직을 대상으로 금융 제재를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19일 프놈펜 프린스그룹 본사에 경비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19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은 캄보디아 범죄 관련자를 금융거래 제한 대상자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유력 제재 대상으로 캄보디아 프놈펜의 '프린스 그룹'과 금융서비스 기업 '후이원 그룹(Huione Group)' 등이 거론된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이대희

독자 여러분의 제보는 소중합니다. eday@pressian.com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