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넘은 '올림픽병', 일단 짓고 보자?

[최동호의 스포츠당] 평창동계올림픽을 둘러싼 거짓말

도를 넘었다. '올림픽병'이라도 걸린 듯하다. 무조건 짓고 보자는 식이 아닌가? 포퓰리즘에 지역 이기주의도 모자라 이젠 지역감정까지 조장한다. 일부 지역 정치인들은 올림픽 반납을 볼모로 중앙정부를 압박하자고 부추긴다. 또한 공공연히 방송에서 거짓을 일삼아 중앙정부의 재정지원을 촉구하고 있다. 평창동계올림픽을 불과 3년 2개월여 앞둔 대한민국의 현실이다.

평창동계올림픽을 둘러싼 거짓말

11월 20일 이기찬 강원도의회 경제건설위원장은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와의 인터뷰에서 "평창동계올림픽 개폐회식장은 평창군 횡계리에 지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기찬 위원장은 "현재로선 방법이 없다. 국제올림픽위원회, IOC 실사팀에서 딱 지정해서 내려온 사항이기 때문에 무조건 따라야한다"고 밝혔다.

이는 사실과 다르다. 이 위원장의 인터뷰는 IOC와의 외교적 마찰까지 빚을 수 있는 심각한 거짓말이다. IOC는 개최도시의 환경 보호와 경제부담 최소화를 위한 경기장 변경에 상당히 유연한 견해를 보인다. 실제로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9월 개폐회식 강릉 이전을 제안할 당시 IOC와 개폐회식장 이전에 합의를 마친 상태였다.

평창올림픽과 관련한 거짓말은 개폐회식장이 처음이 아니다. 가리왕산 중봉에 건설 중인 알파인 스키 활강장은 지금도 논란 중이다. 스키장 건설로 500년 원시림이 무참히 잘려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스키장 건설을 강행한 김진선 전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장도 IOC를 내세웠다. 'IOC가 요구하는 시설 기준을 충족하는 곳은 가리왕산 중봉밖에 없다'는 것이 김 전 위원장의 주장이다. 그러나 IOC는 중봉만을 고집하지 않았다. IOC는 환경보호를 위해 충분히 협상할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는 것이 IOC 사정에 밝은 스포츠계 인사의 증언이다.

재정 파탄 걱정하는 강원도, 그래도 짓고 보자?

▲ 2014 동계 올림픽 폐막식이 열리고 있는 러시아 소치 해안 클러스터의 피시트 스타디움에서 러시아 국기와 그리스 국기, 차기 개최지 한국 국기(왼쪽부터)가 나란히 펄럭이고 있다. ⓒAP=연합뉴스
유치 당시 8조8000억 원이었던 평창동계올림픽 예산은 2015년 13조 원으로 폭증했다. 4년 만에 무려 47%포인트나 증가했다. 강원도는 2015년 1200억 원, 2016년 1000억 원 규모의 지방채를 발행한다. 강원도의 지방채 발행 규모는 올해까지 5800억 원. 평창동계올림픽까지 예상되는 지방채 규모는 8000억 원이다.

평창올림픽에서 스키점프,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등을 치루기 위해 2009년 완공한 알펜시아리조트의 누적적자는 9000억 원이다. 알펜시아리조트는 하루 1억 원이 넘는 이자를 감당하기 어려워 공사채 상환연장으로 버티고 있다. 사실상 파산이다.

그런데도 강원도는 개폐회식장 횡계리 신축을 사수했다. 그리고 중앙정부의 국고지원을 요청한다. 이기찬 강원도의회 경제건설위원장은 CBS와의 인터뷰에서 1년에 운영비만 100억 원이 들어가는 슬라이딩센터와 개폐회식장, 올림픽 경기장의 사후활용방안을 묻는 질문에 "특별한 안이 없기 때문에 앞으로 모색하고 찾아야 된다"고 답했다. 일단 짓고 보자는 식으로 밖에 들리지 않는다.

문체부는 지난 9월 개폐회식장 강릉 이전을 제안했다. IOC와의 합의를 거친 후다. 경비절감은 물론 인구 4000명인 횡계리에 4만석 규모 개폐회식장을 신축하는 것은 사후관리가 더 큰 문제라는 판단이었다. 평창지역민과 지역 정치인들은 끝까지 횡계리 개폐회식장을 고집했다. 결국 횡계리 개폐회식장으로 결정되면서 강원도는 155억 원의 예산을 추가로 부담하게 됐다. 개폐회식장은 경기가 열리지 않는다. 6시간짜리 개폐회식을 위해 인구 4000명 횡계리에 750억 원짜리 개폐회식장을 짓는다.

거꾸로 가는 강원도, "중앙 정부 예산 지원 강화 없으면 올림픽 반납하겠다"

2000년대 들며 IOC는 심각한 고민을 안는다. 올림픽의 비대화로 환경 파괴, 경제파탄이라는 후유증을 피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뮌헨, 생모리츠, 스톡홀름, 오슬로가 주민 반대투표로 올림픽 개최를 포기하며 IOC는 위기감 속에 개혁에 착수했다. 11월 18일 발표된 올림픽 개혁안 '올림픽 아젠다 2020'은 환경 파괴, 경제 부담을 줄이기 위한 올림픽 슬림화에 초점을 맞췄다. IOC는 2개국 공동 개최, 2개 도시이상의 분산 개최를 허용해 올림픽 비용의 절감을 기했다.

2020년 올림픽을 개최하는 일본은 IOC에 경기장 변경을 요청해 2000억 엔(1조9000억 원)의 비용을 절감했다. 일본의 대표적 영자지 <재팬 타임스>는 "전체 31개 경기장 중 28개 경기장을 선수촌 반경 8km 이내에 배치한다는 유치신청 당시 계획을 포기하고 멀리 떨어져 있는 경기장을 추가로 활용키로 하면서 경기장 건설비용이 4600억 엔(4조3369억 원)에서 2600억 엔(2조 4508억 원)으로 줄어들 수 있다"고 보도했다. 존 코테스 IOC 조정위원장은 "농구나 축구 예선전을 아예 도쿄가 아닌 오사카같은 도시에서 치르는 것도 방법이다"고까지 말했다.

그러나 평창과 강원도는 거꾸로다. '올림픽 아젠다 2020' 발표 후 분산개최가 관심을 모으자 21일 최문순 강원도지사, 지역 국회의원, 도의회 의장단, 시장․군수협의회 회장단은 알펜시아리조트에서 열린 '강원도 상생발전을 위한 정책워크숍'에서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는 없다고 못 박았다. 17일엔 강원도의회, 올림픽 개최지 시․군 의회가 "중앙 정부의 예산 지원 대폭 강화, 개폐회식장 건설 예산 75% 지원 등을 요구하며 관철되지 않을 경우 올림픽 반납도 불사하겠다"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파탄난 재정, 사후 활용 방안 없는 경기장. 그럼에도 개발 이익을 기대하며 짓고 또 짓고 중앙정부의 국고 지원을 요청해야한다면 차라리 고통 분담, 수익자 부담 원칙에 견줘 한시적인 강원도 내 '올림픽세'를 신설을 제안한다. 런던 시민은 2012년 런던올림픽 개최를 위해 1인당 32달러씩의 주민세를 추가로 부담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