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검찰청 채동욱 수사기획관은 10일 "전 씨는 외환은행 매각 TF팀장으로 핵심 관계자였기 때문에 당시 매각 과정에 대해 소상히 조사하고 있다"며, BIS 비율 문건에 대해서는 "허 모 차장(사망)에게 미루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검찰은 이에 따라 당시 허 씨가 작성한 것으로 전해진 BIS 비율 문건에서 외환은행의 BIS 비율이 6.16%로 맞춰진 과정에 대한 조사에 집중할 방침이다. 론스타는 사모펀드여서 은행을 인수할 자격이 없으나, 허 씨 등이 작성한 문건은 외환은행 BIS 비율 8% 전망에 못 미쳐 부실은행으로 분류돼 론스타에 매각됐다.
하지만 다른 보고서에는 외환은행의 BIS 비율이 1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당시 문건의 작성 과정에 대한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하지만 문서 작성자인 허 씨가 사망하면서 영원히 미궁에 빠지는 것 같았던 BIS 문건의 비밀에 대한 실마리를 전 씨로부터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검찰은 "전 씨가 허 차장의 직속상관이자 TF팀장이기 때문에 문서 작성 경위를 모를 리 없다"며 "전 씨는 이번 수사에 상당히 중요한 인물로 수사 초기 단계에서 전 씨의 비리가 적발돼 신병을 확보할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말했다. 전 씨에 대한 수사에 상당한 기대를 걸고 있다는 뜻이다.
전 씨의 '검은 돈 거래'도 주목할 부분이다. 검찰은 전 씨의 '수재' 혐의에 대해 "증거가 있으니까 영장을 청구했다"고 혐의 입증에 자신감을 나타냈다.
전 씨에게 돈을 건넨 외환은행 매각자문 컨설팅사 대표인 박 모 씨의 '계좌'도 큰 주목을 받고 있다. 박 씨는 외환은행 매각 자문료로 12억 원을 받았고, 6억 원 가량을 50여 개의 차명계좌에 분산 예치시킨 것으로 드러났다. 이 차명계좌의 자금 중 일부가 전 씨에게 흘러들어간 증거가 포착된 것이다.
박 씨는 차명계좌에 대해 "절세를 위해 그랬다"고 해명하고 있으나, 검찰은 계좌추적을 통해 해명의 진위 여부를 가리겠다는 방침이다. 벌써부터 일부에서는 "박 씨가 차명계좌를 이용해 돈 세탁을 한 뒤 '검은 돈'을 분배한 것 아니냐"는 추측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전 씨, 박 씨에 대한 수사가 성과를 얻을 경우 외환은행 매각을 둘러싼 의혹이 생각보다 빠르게 진상이 드러날 수 있다. 전 씨와 박 씨는 이날 영장실질심사를 받고 있다. 검찰은 당초 감사원의 감사 결과를 지켜본 뒤 수사에 나설 방침이었으나, 수사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됨에 따라 조기에 성과를 내놓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