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문순 민주당 의원 측은 8일 오후 우리은행 측이 보내온 'YTN 지분 매각 계획 등과 관련된 요구자료' 답변서를 근거로 "한전 KDN(900만주), KT&G(838만주), 한국 마사회(400만주) 등 YTN 주식을 보유하고 있는 다른 공기업들과는 달리 우리은행은 YTN 보유주식 319만 주 중 6만5000 주를 이미 처분했다"고 밝히면서 신재민 차관의 '2만 주 매각' 발언은 이팔성 회장과의 교감을 통해 나온 것일 가능성이 높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팔성 회장은 2007년 이명박 후보 캠프의 상근 특보를 맡았으며 이 대통령의 고려대 후배이며 같은 영남 출신로 이 대통령과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 신재민 차관은 지난 대선에서 이명박 캠프의 '메시지 특보'를 맡았으며 구본홍 YTN 사장은 '방송 특보' 출신이다.
특히 우리은행은 직무전결 기준 상 15억 이하 주식 매매는 '부장 전결 사항'으로 "YTN 지분 매각 결정은 부장 전결로 하게된다"고 밝혀 이같은 의혹을 뒷받침했다. YTN 보유 주식을 매각할 때 이사회나 경영위원회 등을 거쳐야 하는 여타 YTN 대주주 공기업과는 달리 우리은행은 '회장 지시'로 보다 손쉽게 주식을 매각할 수 있다는 것.
최문순 의원실 관계자는 "이번 신재민 차관의 '2만주' 매각 발언은 이팔성 회장과의 교감을 통해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며 "2만 주 매매는 공개되지 않는 기업비밀에 해당되는데 신 차관이 어떻게 알았겠느냐"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만약 이팔성 회장이 회사에 불이익을 끼치면서 까지 지분 매각을 명한 것이라면 이는 '배임'에 해당하는 것은 아닌지 검토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우리은행 홍보실 관계자는 "YTN 보유 주식을 이익실현을 위해서 일부 처분한 것은 맞다"며 "그러나 신 차관과의 교감 속에 발언이나 매각이 있었다는 건 사실 무근"이라고 부인했다. 그는 '배임' 여부에 대해서도 "금융권에서 주식을 사고 파는데 이익을 남기지 않는다는 게 말이 되느냐"며 역시 부인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