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희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민주당 소속 국회 법사위원들의 검사장 고발을 두고 "모든 사안을 일일이 지도부와 논의해 진행하는 것은 아니"라며 당내 논의가 없었다는 지적에 대해 반박했다. 또한 "내란전담재판부야말로 조희대 사법부의 내란 종식 방해를 막아낼 가장 확실한 안전장치”라며 “반드시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 최고위원은 23일 국회에서 현안 기자간담회를 열고 "사전에 이 고발 여부에 대해서 원내 지도부라든지 좀 조율이 있었으면 좋았겠다는 아쉬움은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런 법사위 상임위 활동에 대해서 모든 사안을 일일이 지도부와 논의를 해서 거기에 따라 진행하는 것은 아니"라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시장에 뜻이 있는 전 최고위원이 당내 경선을 겨냥해, 당내 영향력 있는 일부 당원들을 향한 강경한 메시지를 내며 사실상 지방선거 전초전에 들어간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앞서 민주당 소속 법사위원들 항소포기와 관련해 집단 행동을 한 검사장 18명을 고발하자 김병기 원내대표가 직접 "뒷감당은 그쪽에서 해야 할 것"이라며 불쾌감을 표명한 바 있다. 김현정 원내대변인도 "원내지도부와 사전 논의가 없었다"고 당내 지도부와 교감이 없었다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전 최고위원은 지난 20일에도 "해당 사안은 법사위원들이 자발적으로 이름을 걸고 한 의정 활동, 상임위 활동"이라며 "당 차원 활동과는 구별해주시면 좋겠다"고 법사위원들의 고발을 두둔한 바 있다.
또한 전 최고위원은 내란전담재판부의 필요성을 거듭 주장, "내란세력에 반격의 기회를 줘선 안 된다. 윤석열의 두 번째 석방만큼은 무슨 일이 있어도 막아야 한다"며 "특검이 있으면 특판도 당연히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법사위 대부분의 의원들이 내란전담재판부가 필요하다는 점에선 의견 일치를 봤다"며 "당 지도부의 경우에도 내란전담재판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부분 동의하고 있다"고도 덧붙였다.
다만 "지금 1심에 내란전담재판부를 도입하면 재판 도중 재판부가 교체돼 위헌 소지가 있어 (위헌법률심판이 청구되면) 재판이 지연될 수 있다는 지적이 있어 2심부터 도입하자는 주장이 힘을 얻는 건 사실"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당·정·대 의견 조율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대통령께서 순방에서 돌아오면 그 이후에 본격적 논의가 다시 시작되지 않을까"라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