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는 지난 이틀 동안 '2025올림픽도시 포럼'등 올림픽 관련 행사를 개최하면서 전주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분위기 확산을 꾀했다.
첫날 열린 도시포럼에서는 하계올림픽 유치에 나선 전북도를 향한 전문가들의 깊이 있는 진단과 조언이 잇따랐다.
지난 14일, 도시포럼 직전에 열렸던 전북도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는 그동안 전북도가 보여준 올림픽 유치과정의 행태에 대해 '불통의 연속', '깜깜이 유치전'이라는 질타가 쏟아졌다면, 다음 날인15일에 개최된 '2025올림픽도시 포럼'에서는 전주하계올림픽 유치를 준비하는 전북도에 대한 전문가들의 진단과 방향 제시가 있었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전주 일원에서 이틀 간 펼쳐진'2025올림픽도시 포럼'과 '올림픽데이런 2025in전주'행사가 전북도에 던지는 시사점은 무엇일까?
15일 전북대학교 진수당에서 열린 '올림픽도시포럼'에서 '올림픽 도시의 진화:1.0에서 3.0으로'라는 주제로 기조발제를 한 조현주 한국스포츠과학원 선임연구원은 올림픽도시3.0의 핵심 개념을 '사람과 지구, 정책'으로 설명하면서 올림픽을 유치하는 과정에 가장 중요한 것은 "시민들 속으로 스며드는 것이며 올림픽 이후에 방점을 두는 '살아있는 유산'이 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올림픽이 더 이상 '이벤트성'에 머물러서는 안 되며 도시 자체가 글로벌화하는데 시민 개개인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취지다.
조 연구원은 덧붙여 "올림픽 도시의 정책이 단순히 공무원 뿐만 아니라 시민과 지역의 중.고등학교까지 녹아 들어가 교육이 이뤄지는 것이야 말로 선진적 모델"이라고 강조했다.
물론 이변을 일으키며 국내 올림픽 개최 후보도시로 선정되기는 했지만 올림픽 경기를 하기 위해 적합한 기준의 경기장이나 숙박시설을 절대적으로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지적되는 전북도는 아직도 '사전타당성조사' 조차 마무리 짓지 못한 상태에 있으며, 최근에서야 서울시를 '연대도시'로 끌어들였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마저도 전북도의회의 지적을 면하기 어려웠다.
전북도의회 문화안전소방위원회 김성수 의원은 14일 열린 도의회 정례회에서 "전북도가 서울시와 체육시설 사용 협의를 마쳤으면 그 과정에서 의회에 충분히 상황을 보고하고 이후 도지사와 전주시장이 함께 공동기자회견이라도 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전북도의 거듭된 소통 부족을 질타했다.
김관영 도지사는 올림픽 관련 행사를 마치면서 "전주가 서울을 제치고 올림픽 후보지로 올라선 만큼 단순한 유치를 넘어 지속가능한 올림픽 도시 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하면서 "이를 위해 민관협력을 강화하고 도민과 함께하는 준비체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2025올림픽도시포럼'과 '올림픽데이런 2025 in전주'행사가 전북도에 던지는 시사점은 바로 '시민과 함께 하는 만들어 가는 올림픽'이다.
도민들이 직,간접적으로 올림픽 유치의 긴박한 과정에 참여할 수 없는 실제적 상황에서 집행부의 신속한 의사결정을 뒷받침하면서 함께 호흡하고 힘을 보탤 수 있는 조직은 바로 도의회라고 할 수 있다.
올림픽 유치 과정에서 집행부와 도의회 간의 더 이상의 '불협화음'은 도민들을 불안하게 만들 뿐 아니라 전북도가 올림픽 유치보다는 '이벤트성' 행사를 개최하는 데만 정신을 쏟고 있다는 것을 스스로 방증하는 셈이 될 것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