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의 도움이 절실한 가정 밖 청소년… 지원제도 확대돼야

김남희 의원 "가정 밖 청소년, 자립준비청년에 비해 자립정착금·의료지원 등 부족"

경기·부산·울산·제주 등 4개 지역만 자립정착금 지원 지자체 재량·소관 부처 따라 다른 지원제도 지적

▲김남희 국회의원. ⓒ김남희 의원실

‘가정 밖 청소년’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성평등가족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남희(경기 광명을) 의원은 4일 자립정착금 지급 등 가정 밖 청소년에 대한 지원이 부족한 현실을 지적하며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가정 밖 청소년은 가정 해체와 가출 등의 이유로 가정의 보호와 돌봄을 받지 못하고 있는 청소년을 의미한다.

김 의원이 성평등가족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보호시설을 퇴소한 가정 밖 청소년은 4462명에 달한다.

그러나 자립정착금조차 제대로 지원받지 못하면서 생활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가정 밖 청소년과 마찬가지로 가정을 벗어나 보호시설에서 생활한 뒤 사회에서 자립에 나서는 ‘자립준비청년’과 비교된다.

가정 밖 청소년과 자립준비청년은 모두 시설에서 2년 이상 보호를 받은 경우 퇴소 시 매월 50만 원의 자립수당을 최대 5년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자립정착금의 경우 자립준비청년에게는 보건복지부 정책으로 1인당 1000만~2000만 원이 지원되는 반면, 가정 밖 청소년은 지자체 재량에 따라 지급 여부가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 지난해 시설을 퇴소한 가정 밖 청소년 가운데 자립수당을 받은 인원은 전체의 6.1%인 273명인 반면, 정착지원금을 받은 인원은 7명에 그쳤다.

올해의 경우에도 보호시설을 퇴소한 가정 밖 청소년 3135명 가운데 자립수당을 받은 이들은 11.9% 수준인 373명(9월 기준), 정착지원금을 받은 이들은 36명이 전부였다.

그마저도 정착지원금을 받은 가정 밖 청소년은 자체 기준을 통해 자립정착금을 지급하는 지자체에 거주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현재 가정 밖 청소년에게 자립정착금을 지급하는 지자체는 경기도(1000만 원)와 부산광역시(1200만 원)를 비롯해 울산광역시(500만 원) 및 제주특별자치도(1500만 원) 등 4곳에 불과하다.

자립정착금 뿐만 아니라 의료·교육 등 전반적인 지원에서도 격차가 확인됐다.

자립준비청년은 보건복지부의 의료비 지원사업을 통해 의료급여 수준의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건강보험 본인부담금 일부를 국고에서 지원받을 수 있는 반면, 성평등가족부가 담당하는 가정 밖 청소년은 의료비 지원사업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

또 가정 밖 청소년은 학자금 대출 시 소득 5구간까지만 무이자 대출이 가능해 원가정을 떠났음에도 부모의 소득이 반영됐으며, 국가장학금 신청 시에도 가정 밖 청소년에게만 성적 기준이 적용되고 있는 상태다.

디딤씨앗통장(아동발달지원계좌) 역시 가정 밖 청소년은 차상위계층까지만 가입 가능한 반면, 자립준비청년은 모든 보호대상 아동이 가입할 수 있다.

김 의원은 "시설의 종류와 소관 부처에 따른 격차를 조속히 해소하고, 가정 밖 청소년도 자립준비청년과 동일한 수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관계 부처가 나서 제도적 개선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전승표

경기인천취재본부 전승표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