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역사 직시한 무라야마 뜻 오래 기억하겠다"

"과거사 반성과 사죄로 뜨거운 울림과 감동"

이재명 대통령은 17일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일본 총리 별세 소식에 "역사를 직시하고 미래를 향해 나아가고자 했던 무라야마 전 총리의 고귀한 뜻을 기린다"며 애도의 뜻을 표했다.

이 대통령은 "한일 관계의 발전을 위해 기여하신 고인의 업적과 헌신을 오래도록 기억하겠다"며 페이스북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국민을 대표해 깊은 애도와 추모의 뜻을 표한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무라야마 전 총리는 일본 국민을 위한 정치에 헌신하는 한편, 주변국들과의 화해와 상생을 위해서도 각별한 노력을 기울인 분"이라고 했다.

특히 "1995년, 전후 50주년을 맞아 내각총리대신으로서 발표한 담화에서 과거사에 대한 통절한 반성과 사죄의 뜻을 표명해 일본은 물론 이웃 나라 국민들에게도 뜨거운 울림과 감동을 줬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빈다. 유가족 여러분에게도 진심 어린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고 했다.

이날 향년 101세로 별세한 무라야마 전 총리는 일본의 과거 식민지 지배에 처음 사죄한 '무라야마 담화'의 주인공이다.

1995년 8월 15일 종전 50주년 기념일에 발표한 무라야마 담화에서 그는 "일본이 잘못된 국가 정책 아래 전쟁의 길을 걸었고 식민지 지배와 침략으로 많은 나라, 특히 아시아에 막대한 피해와 고통을 초래했다"며 반성의 마음을 담았다.

또 "의심할 여지도 없는 이와 같은 역사의 사실을 겸허하게 받아들이고 여기서 다시 한 번 통절한 반성의 뜻을 표하며 진심으로 사죄의 마음을 표명한다"고 했다.

'통절한 반성'과 '진심어린 사죄' 마음을 진정성 있게 표한 그의 역사 인식은 1998년 김대중 전 대통령과 오부치 게이조 전 총리가 정상회담 뒤 발표한 '한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즉 '김대중-오부치 선언'의 토대가 됐다.

▲이재명 대통령이 13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임경구

2001년에 입사한 첫 직장 프레시안에 뼈를 묻는 중입니다. 국회와 청와대를 전전하며 정치팀을 주로 담당했습니다. 잠시 편집국장도 했습니다. 2015년 협동조합팀에서 일했고 현재 국제한반도팀장을 맡고 있습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