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 AI 자율제조 전환 본격화…2027년까지 생산성 30% 향상 목표

AI 품질예측 모델 정확도 87% 달성…NIR 센서·자율이동로봇 등 스마트 설비 도입 가속화

데이터 레이크·통합 플랫폼 구축으로 전사 업무 AI 기반 전환 추진

이차전지 소재 생산 기업 에코프로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자율제조 기술을 본격 도입, 오는 2027년까지 생산성을 30% 이상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에코프로는 9일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AI 자율제조 선도프로젝트' 2차년도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한국섬유기계융합연구원(KOTMI), 디엘정보기술, 미소정보기술, 충북테크노파크 등이 참여했다.

에코프로는 1차년도 연구 성과로 소성로 품질 예측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하고, 약 87%의 정확도를 보이는 품질 예측 AI 모델을 개발했다.

올해 2차년도부터는 실시간 데이터 수집·분석, 자율제어 설비 도입 등 AI 기반 기술을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특히 양극재 생산 자회사 에코프로비엠은 근적외선(NIR) 센서와 자율이동로봇(AMR), 도가니(소성로 용기) 추적 시스템 등 스마트 설비를 도입해 공정 자동화와 품질 관리 고도화를 추진한다.

또한 생산관리시스템(MES)과 설비 데이터를 통합하는 '데이터 레이크'를 구축해 전사 데이터를 AI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ETRI는 제조 데이터 기반 AI 품질예측 모델을 고도화하고, 미소정보기술과 디엘정보기술은 데이터 플랫폼과 시각화 시스템을 개발해 공정 데이터를 통합 관리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이수호 에코프로 AI혁신실장은 “AI 자율제조 추진을 통해 제조 공정 혁신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에코프로 AI자율제조 이차전지 선도과제 워크숍 모습ⓒ에코프로 제공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 3,000원
  • 5,000원
  • 10,000원
  • 30,000원
  • 50,000원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국민은행 : 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오주호

대구경북취재본부 오주호 기자입니다.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